뷰페이지

문정왕후 어보, 국내 반환이냐 장기 대여냐

문정왕후 어보, 국내 반환이냐 장기 대여냐

입력 2013-09-03 00:00
업데이트 2013-09-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난 60여년 만에 환수 길 열렸는데…

6·25전쟁 당시 미국으로 불법 반출된 ‘문정왕후 어보(御寶)’가 조만간 국내에 반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어떤 형식으로 돌아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25전쟁 때 미군이 불법반출한 문정왕후 어보. 당시 미국으로 유출된 47과의 어보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며 미 로스앤젤레스카운티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박물관 제공
6·25전쟁 때 미군이 불법반출한 문정왕후 어보. 당시 미국으로 유출된 47과의 어보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며 미 로스앤젤레스카운티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카운티박물관 제공




어보를 소장하고 있는 미 로스앤젤레스(LA)카운티박물관(LACMA)은 오는 18일 예정된 국내 시민단체 관계자와의 2차 면담을 전후해 어떤 형태로든 반환 계획을 발표할 전망이다. 하지만 잇따른 문화재 반환에 부담을 느낀 미 정부와 박물관 측이 막바지에 ‘장기 대여’ 형식을 취할 수도 있어 60여년 만의 완전 반환은 어려울 것이란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2일 시민단체와 검찰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미 국토안보부에 어보 유출 사건을 수사의뢰할 당시 한국 검찰은 문서에 ‘어보가 6·25전쟁 때 미군에 의해 도난된 것’이라고 못 박았다. 어보 반환 운동을 전개해온 ‘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인 혜문 스님은 “미 국토안보부는 올 1월 디트로이트 경매장에서 거래된 ‘호조태환권’ 인쇄 원판에 대해서도 6·25전쟁 당시 미군이 불법 취득한 장물이라는 이유로 경매에서 낙찰받은 이로부터 압수한 전례가 있다”면서 “양국 정부 사이에 충분한 사전 조율이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에 따르면 미 연방 장물거래금지법 2314조는 5000달러 이상의 물건이 미국 내에 반입되었을 때 세관기록을 요구하고 있다. 또 정식 절차를 밟지 않았다면 압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문정왕후 어보의 경우 미국 유입 경로를 밝혀줄 세관기록이 없어 국토안보부 수사국이 불법 취득한 장물로 판단할 가능성이 높다.

2010년 이후 어보 반환을 요구받아온 LACMA 측은 압박을 느끼고 있다. 국토안보부가 본격 수사에 나서기 전 먼저 어보의 반납을 제안할 가능성이 큰 이유다. 박물관 측은 그동안 “재단 기금으로 구입한 합법적인 소장품이어서 반환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지만 최근 선회했다.

지난 7월 성사된 국내 시민단체 관계자와의 1차 면담에선 “어보가 도난품이 확실하다면 증거를 제출해 달라”는 뜻을 내비쳤다. 지난달 27일 LA카운티의 최고 책임자가 “한국 정부의 공식 요청이 있고, 도난품이란 사실이 입증된다면 돌려주겠다”는 서신을 보내온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하지만 반환 형태를 놓고 여전히 의견이 갈린다. LACMA 측은 국립고궁박물관 등에 특별전을 통한 대여 전시의 형태를 고수해 왔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으로 유출된 대표적인 약탈 문화재인 ‘어재연 장군기’(미 해사박물관 소장)가 2007년 장기 대여 형식으로 국내에 돌아온 것과 비슷하다.

미국은 1943년 ‘런던 선언’에 따라 약탈이 확인된 문화재를 반환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3일 반환되는 호조태환권 인쇄 원판 이외에는 1960년대 이후 이렇다 할 반환품이 없었다. 호조태환권은 경매 단계부터 미 정부가 수사를 벌여왔고, 소장자가 박물관이 아닌 재미교포였다는 점에서 회수가 비교적 수월했다.

문화재제자리찾기는 LACMA에 어보가 도난된 것이라는 증거를 모두 제출한 상태다. 1956년 당시 양유찬 주미 한국대사가 미 국무부에 문정왕후 어보를 비롯한 47개의 어보가 도난됐다고 신고했던 녹취록과 미군의 어보 절도사건을 보도한 1953년 미 ‘볼티모어 선’지 기사 등이다.

문정왕후 어보는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의 비인 문정왕후의 인장(印章)으로 가로·세로 10.1㎝, 높이 6.45㎝의 도장에 거북 모양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어보는 왕과 왕비, 세자와 세자빈의 행적과 공덕을 담은 것으로 국내에는 모두 324과(顆)가 남아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9-03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