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중국에 고민 준 유해반환 외교/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중국에 고민 준 유해반환 외교/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입력 2013-08-03 00:00
업데이트 2013-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산골짜기마다 나라에 충성 바친 병사들이 묻혀 있는데, 어찌 말가죽에 시신을 싸서 돌아가겠느냐(靑山處處埋忠骨, 何須馬革裏屍還)”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1월. 마오쩌둥(毛澤東)은 당시 한반도에 파병을 보낸 장남 마오안잉(毛岸英)의 전사 소식을 전해들은 뒤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그리고 청나라 공자진(?自珍)의 기해잡시(己亥雜詩)에 나오는 이 시구로 답을 대신했다고 한다.

지금도 중국에서는 이 일화를 두고 사(私)를 버린 무산계급 혁명가의 진면목이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권력자의 아들만 데려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전 참전 중국군 유해는 현지에 묻고 오는 것이 전사자 처리의 원칙이 됐다.

하지만 이 원칙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 6월 방중 이후 바뀔 듯한 분위기다.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 유해 반환 제안에 중국 네티즌들이 크게 호응하고 일부 정치인들도 반색했기 때문이다. 류옌둥(劉延東) 국무원 부총리는 박 대통령의 제안을 받자마자 “떨어진 낙엽이 뿌리의 자리로 되돌아가듯(葉歸根) 사람이 아무리 멀리 가더라도 조국으로 돌아와야 한다”며 사의를 표했다.

그러나 정작 중국 당국은 석연치 않은 태도를 견지했다. 박 대통령의 제안이 중국내에서 사흘가량 ‘지각 보도’되고 당국의 반응도 한 달 가까이 지난 뒤에서야 나왔다. 그것도 한 반관영 언론의 사회면에 이름을 명시하지 않은 부처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하는 식으로 작게 처리됐다. “사안이 중대한 만큼 관련 부처들과 협의를 거쳐 유해를 적절히 영접하겠다”는 그 관계자의 발언은 부처 간 충분한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안이어서 준비하는 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실제로 중국 당국자와 전문가들 중에는 박 대통령의 제안이 너무 갑작스러웠고, 중국 실정을 제대로 감안하지 않은 처사였다고 지적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중국이 말하는 불편한 이유는 대충 이렇다.

우선, 원칙을 바꾸는 일이다. 한국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모든 정책이 새로 시작되지만 중국은 정책의 영속성이 중요하다. 유해를 되찾아 오려면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형평성 원칙도 견지해야 한다. 한국 이외에 북한·미얀마 등에도 유해가 많은 데다 유해의 반환 방식, 관리 예산 등 고려할 사항이 많다.

셋째, 북한과의 관계도 생각해야 한다.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를 고려해 우리 측의 반환 제안을 과거 수차례 거부했다.

결국 중국 당국은 여러 상황들을 고려해 우여곡절 끝에 어쩔 수 없이 수락하는 모양새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선열의 유해를 고국에 안장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후손들의 도리다. 우리 정부 관계자는 유해 추가 발굴 사업이 이어지면 한·중이 정치적으로 밀착하는 계기가 된다며 박 대통령의 제안이 성공적이라 말한다. 그러나 좋은 의도와 상관없이 중국 정부가 준비돼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면 오히려 부담만 준 꼴이 됐다. 이번 제안이 중국을 위한 배려 차원에서 이뤄졌다면 더욱 꼼꼼히 상대국의 입장과 기준을 살펴봐야 했었다. ‘모든 전사자를 집으로 데려와야 한다’는 인식은 아직 중국이 흔쾌히 받아들일 수 있는 ‘중국식’은 아닌 것 같다.

jhj@seoul.co.kr

2013-08-03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