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과학에게 말걸기/심재억 의학 전문기자

[세종로의 아침] 과학에게 말걸기/심재억 의학 전문기자

입력 2013-07-11 00:00
업데이트 2013-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심재억 의학 전문기자
심재억 의학 전문기자
잠깐, 지금 당신을 에워싸고 있는 모든 것들 중에서 과학이 아니거나 과학과 무관한 것을 한 가지만 찾아보자. 단언컨대 당신은 이 주문에 부합하는 그 무엇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이 일을 하든 놀든, 죽고 사는 문제든 다 그렇다. 이유는 간단하다.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을 뿐 우리는 이미 모든 것이 과학인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정말 과학은 어렵고 재미없는 일이기만 할까. 과학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정체를 의심하면서 시작됐다. 개구리를 해부한다든가, 구충제를 먹고 젓가락 같은 회충을 줄줄이 배설했던 기억 속에도 과학에 대한 외경이 있었다. 이 때문에 멀쩡한 라디오며 시계를 망가뜨리기도 했고, 건전지의 전극을 혀끝에 대며 느낀 저릿함이 과학이 주는 전율의 시작이었음을 아주 늦게 알았다.

미국의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발사 직후 공중에서 폭발했을 때는 전세계가 비통해했고, 나로호가 대지를 박차고 올라 우주로의 첫 여행을 시작했을 때는 전 국민이 열광했다. 처음으로 달을 디디고 선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 선장이 “이 첫걸음은 한 인간에게는 작지만 인류에게는 커다란 첫 도약이다”는 착륙 일성을 토하자 세계인은 환호했다. 지지직거리며 전해진 그의 음성은 단번에 인류의 가슴에 우주라는 거대한 과학의 명제 하나를 새겨 넣었다.

그로부터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과학은 멀고 어렵다. 그 멀고 어려운 과학과 보통의 사람들 사이에 매개자로서 과학언론이 존재한다. 이 지점에서 언론은 과학의 발전과 과학적 인식의 확산에 기여하며, 과학을 빙자한 상업주의나 과학의 권력화와 악용을 감시하고 통제한다. 따라서 과학이 지금도 멀고 어렵다면, 그래서 선용할 과학이 발전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면, 과학언론이 제 역할을 소홀히 했다고 지적할 수밖에 없다. 같은 시각에서 과학언론의 활동이 왕성한 나라들이 모두 선진국이라는 점을 주목하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한국과학기자협회가 2015년 세계과학기자연맹 총회(WCSJ)를 서울에 유치한 것은 하나의 역사임에 틀림없다. 지금까지 서유럽과 북미 중심으로 운영된 세계 과학의 흐름과 과학언론의 시선을 아시아, 특히 한국으로 견인할 수 있는 계기라는 점, 우리의 과학과 과학언론이 도약의 분수령으로 치달아 오른다는 점, 그래서 우리의 과학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그렇다. 그렇다고 보면 한국과학기자협회의 WCSJ 유치는 그 자체로 한 시대의 정리이고, 새로운 시대를 향한 도발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WCSJ 유치는, 우리가 과학의 본질에 다가서는 유력한 경로를 확보했다는 뜻이다. 과학의 본질은 ‘왜곡 없는 소통’과 ‘필요의 공감’이다. 이를 위해 과학은 실질적 필요를 파악해야 하고, 그 필요에 구체적으로 응답해야 한다. 우리가 과학의 본질에 다가서는 어법을 익혀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진지하게 말을 걸어야 한다. “과학이야말로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인간적인 과업”이라고.

jeshim@seoul.co.kr

2013-07-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