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매머드 복원/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매머드 복원/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입력 2013-06-03 00:00
업데이트 2013-06-03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머드는 한반도에서도 살았던 동물이다. 크기는 3m 정도였지만 28만년 전에 살았던 쑹화강 매머드는 몸길이가 9.1m나 되었고 키는 5m가 넘었다. 1933년 북한 함북 온성군에서 철도 공사 도중 매머드 화석이 발견됐다. 북한에서는 또 1961년에 화대군에서, 1977년에는 길주군에서 잇따라 매머드 화석이 나왔다. 남한에서도 1996년 전북 부안에서 매머드의 어금니와 골격 화석이 발굴된 일이 있다. 매머드는 우리와 퍽 친숙했던 동물인 셈이다. 매머드는 약 480만년 전부터 불과 4000년 전까지 존재했다. 이 시기는 인간의 역사와도 거의 일치한다. 두 발로 걷는 최초의 원시 인간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출현한 것은 약 500만년 전이다.

빙하기였던 수십만년 전 따뜻한 곳에 살던 매머드는 사라졌지만 추위에 적응한 털북숭이 매머드 등은 오히려 번성했다. 매머드는 빙하기가 끝난 홍적세 말기인 1만년 전 멸종하기 시작했는데 여러 가설만 나와 있을 뿐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빙하기가 끝난 기후의 변화 때문이라는 설과 인류의 사냥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최근에는 1만 2800년 전 지구에 운석이 충돌한 뒤 발생한 유독 가스와 기온 급강하로 멸종했다는 운석 충돌설이 힘을 얻고 있다.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는 냉동 상태에서 완벽하게 원형이 보존된 매머드가 발견되고 있다. 2009년에는 가죽과 장기가 깨끗하게 남아 있는 아기 매머드의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 어떤 매머드는 입 안에 씹던 풀들이 있었고 그 풀은 열대 혹은 온대 식물이었다고 한다. 이를 근거로 지구 자전축의 변화가 지구를 급속히 냉동시키는 바람에 매머드가 멸종됐다는 가설을 펴는 사람들도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이 최근 한 연구소의 연구팀이 진행하고 있는 매머드 복원 프로젝트를 방영해 눈길을 끌었다. 이 연구소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관여하고 있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 CNN 등 미국의 방송들도 이 프로젝트를 보도하면서 연구팀이 매머드의 혈액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매머드 복원 과정은 이렇다. 코끼리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매머드의 세포에서 분리해 낸 핵을 집어넣는다. 화학적·전기적 자극을 주어 세포분열을 시켜 배아가 만들어지면 이를 코끼리의 자궁에 이식해 아기 매머드를 출산시킨다는 것이다.

매머드 복원에 성공한다면 과학계를 발칵 뒤집을 만한 엄청난 사건이 될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몇년 전 배아줄기세포 자료를 조작해 물의를 빚었던 황 전 교수가 참여하고 있어서 사람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것 같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13-06-0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