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전한 목돈 마련 ‘재형저축’ 높은 수익률 기대 ‘재형펀드’

안전한 목돈 마련 ‘재형저축’ 높은 수익률 기대 ‘재형펀드’

입력 2013-03-06 00:00
업데이트 2013-03-0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일 출시… 내게 맞는 상품은

이미지 확대
서민들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한 재형저축 출시를 하루 앞둔 5일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영업부에서 행원이 고객에게 재형저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서민들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한 재형저축 출시를 하루 앞둔 5일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영업부에서 행원이 고객에게 재형저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8년 만에 부활한 재산형성저축(재형저축)이 6일 드디어 출시된다. 상품은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재형저축과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대신 좀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재형펀드 두 종류다. 저축과 펀드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 가입한도 안에서 분산투자도 가능하다. 단,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www.hometax.go.kr)에서 소득확인증명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한다.

재형저축은 쉽게 말해 적금이다. 산업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이 동시에 판매에 들어간다. 산업은행만 20일쯤 출시할 예정이다. 재형저축·펀드 모두 이자소득세(14%)가 면제되지만 농특세(1.4%)는 내야 한다. 금리가 연 3.4~4.6%로 일반 예·적금보다 높은 점이 강점이다. 이찬수 기업은행 개인고객부 팀장은 “비과세 혜택을 감안하면 사실상 4%대 후반에서 5%대 중반의 이자를 받는 셈”이라면서 “재테크보다는 목돈을 마련한다는 생각으로 가입하는 것이 좋다”고 권유했다.

최소 7년 동안 돈이 묶이고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4년째부터 변동금리’라는 점도 주의할 대목이다. 변동금리는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할 가능성이 큰데, 현재 정기예금 금리는 연 2%대로 떨어진 상태다. 중간에 해지할 경우 손해도 크다. 우대금리는 만기를 채웠을 경우에만 받을 수 있다. 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3년 안에 해지할 경우 기본 금리는커녕 연1~2% 금리만 줘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본금리 4.2%짜리 상품에 24개월을 납입한 후 해지하면 연 1.38% 금리만 받게 된다. 그나마 1년 안에 해지하면 최저금리 1%밖에 못 받는다.

이런 금리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재형펀드로 눈을 돌릴 만하다. 재형펀드는 운용실적에 따라 재형저축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출시 대기 중인 재형펀드만 30여개다. 대부분 해외채권형인데 지난해 해외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은 연 5~10%대였다. 이 실적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재형저축보다 최고 두 배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셈이다.

재형펀드는 이자소득세 외에 배당소득세도 면제된다. 장기 적립식 펀드 가입자라면 ‘갈아타기’도 고려해볼 만하다. 중도 해지하면 저축상품과 마찬가지로 비과세 혜택은 사라진다. 사실상 환매 수수료는 없다. 재형저축보다 유리한 대목이다. 단, 7년 만기 후 3년 연장을 했더라도 연장기간 안에 해지하면 이 역시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한다. 고액 납입자라면 금융소득종합과세를 주의해야 한다. 매달 100만원씩 8년 이상 납입하고 수익률이 20%를 넘을 경우 이자소득만 2000만원이 넘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재형저축과 달리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것은 단점이다. 6년 동안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어도 만기 시점에 수익률이 크게 떨어지면 원금도 못 건질 수 있다.

신민규 한국투자증권 상품전략부 차장은 “재형펀드는 장기투자상품인 만큼 위험자산을 선호하는 투자자이더라도 한 단계 낮춰 투자하는 게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주식형 펀드를 즐겨 찾는 투자자라면 주식혼합형 펀드에 돈을 넣으라는 얘기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3-06 1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