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안심소득… 암투병 부모님 돌보는 청년 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해 농사 망치는 야생조수…제주 “피해 보상 신청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젊은 공무원 챙기기 봇물… “사기 올라” “급여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나주 주몽 드라마 세트장 ‘철거안’ 확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시선집중] 용산구 ‘현장소통’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발로 뛴 5개월, 민원 70% 해결… ‘洞창’이 밝아집니다

‘탁상행정’은 실제 현장의 목소리, 주민들의 요구와 괴리된 현실성 없는 정책을 비꼬는 말이다. 용산구에는 그런 말이 발붙일 틈이 없다. 성장현 구청장부터 두 팔을 걷고 탁상행정을 뿌리뽑고 ‘소통행정’을 강조하며 주민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데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 현안 현장소통’에 나선 성장현(오른쪽) 용산구청장이 보광동 시장 상인들과 함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용산구 제공



2일 용산구에 따르면 성 구청장은 지난 한 해 동안 지역 내 16개 동을 모두 순회하며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는 ‘동 현안 현장소통’을 진행했다. ‘기다리는 행정’에서 ‘찾아가는 행정’으로 발상을 전환한 것으로, 지난해 5~10월 목요일마다 지역 구석구석을 방문했다. 이 기간 동안 그가 만난 주민들은 215개 프로그램, 총 4992명에 달한다.

동 현안 현장소통은 성 구청장의 민선 5기 역점사업으로 강한 의욕을 갖고 추진했다. 성 구청장은 임기 초부터 매주 목요일을 ‘구민과의 대화의 날’로 정해 구청장실 문을 열어두고 주민들을 만났다. 그러다 지난해에는 이를 업그레이드시켜 성 구청장이 대화를 원하는 주민들을 직접 방문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현장소통은 성 구청장이 새벽에 동으로 바로 출근해 저녁까지 지역을 돌며 현장을 방문하고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지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현장은 주민 안전과 직결되는 위험·취약시설을 중점 방문했고 이를 바탕으로 재해·재난대비책 등을 수립했다. 간담회는 어린이집, 경로당은 물론 많은 주민들이 이용하는 자치회관 등을 필수로 방문해 모든 계층의 의견을 듣고자 했다. 또 동 주민센터 직원들과도 간담회를 열어 지역 숙원사업 등을 두루 살피고 함께 논의했다. 성 구청장은 “구청장이 직접 동에 와서 의견을 듣겠다고 하니 주민들도 처음에는 의아해하고 어려워하는 경향이 많았다”며 “하지만 진심이 통하고 난 뒤에는 건의사항은 물론 편하게 개인적인 얘기까지 털어놓곤 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만남을 통해 성 구청장이 주민들로부터 직접 접수한 건의사항은 총 597건에 이른다. 접수된 의견은 담당 부서에 즉시 통보해 1주일 이내로 처리 결과를 안내토록 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전체 건의사항의 69%가량인 394건은 처리를 완료하거나 정상 처리 과정에 있다. 실제 예로 원효2동의 한 주민이 “버스표지판과 승차대가 멀리 떨어져 있어 출퇴근 시간에는 늘 뛰어야 하고 눈·비가 오면 버스를 타기 위해 다시 우산을 펼쳐야 한다”고 불만을 전하자 담당 부서가 서울시와 신속한 협의를 거쳐 이를 이틀 만에 해결하기도 했다.

물론 현장에서 나오는 민원이라고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성 구청장은 현실성, 형평성 문제로 추진이 불가능한 의견 79건에 대해서는 설득 과정을 통해 주민들의 이해를 구했다. 별도로 성 구청장은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정책을 구상하고 98건의 구청장 지시사항을 내리기도 했다. 현재 이 중 84건이 처리됐거나 정상 추진 중이다.

구는 올해에도 동 현안 소통 사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올해는 사업을 더욱 확대해 동별 연 2회 만남을 가지고 또 평소 만나기 힘든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저녁 및 주말 간담회를 꾸리는 방법도 검토 중이다. 성 구청장은 “5개월간의 현장소통을 통해 용산의 장단점을 더욱 잘 알게 됐고 주민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지한 고민을 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주민 소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1-03 1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