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방시대] 사회적 기업으로 건강한 사회 만들기/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지방시대] 사회적 기업으로 건강한 사회 만들기/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2-11-27 00:00
업데이트 2012-11-27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복지가 화두다. 복지의 하나로 주목받는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경제적 가치의 이율배반적인 목표 추구를 조정하기 위해 출발했다. 2003년부터 정부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시행했지만 정부의 재정지원 의존도가 높고, 대부분 단기 및 저임금 일자리로 인해 성과가 미흡하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이 사회적기업이다.

이미지 확대
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박상규 강원대 경영학과 교수
우리나라는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을 제정하면서 정부의 지원이 시행됐다. 동법에서 취약 계층에게 사회적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며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능이라고 정의했다. 즉, 사회적기업은 제품·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해 고용하는 게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제품·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선진국의 사회적기업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자생적으로 성장했다. 사회적기업은 정부와 시장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회적 필요(취약계층 고용창출, 사회복지 서비스지원 등)를 채우는 게 목적이다. 영리추구의 목적을 가진 사기업과는 창업의 목적부터 차이가 있다.

사회적기업은 최근 경영 부실로 인해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기업 출범 5년 동안 정부 투자 예산액은 7800억원(대부분 인건비 지원)이고, 600여개가 창업했지만 17% 정도만 적자를 면할 정도다. 사회적기업 육성은 바람직하지만 정부 지원은 곧 국민들의 세금 부담이기 때문에 자생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취약계층의 의무고용으로 원가 부담이 높아 3년간의 정부 지원으로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어렵다. 정부가 지원을 중단하면 도산의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레너드(하버드경영대학원 사회적기업 이니셔티브 공동의장) 교수는 “사회적기업들이 범하는 가장 흔한 오류는 숭고한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져도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익이라고 부실경영이 용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가장 성공한 사회적기업은 미국의 착한 신발브랜드 ‘탐스 슈즈’다. 2006년 맨발로 다니는 어린아이들을 돕는다는 취지로 창립했다. 이 신발회사는 ‘내일을 위한 신발’이란 슬로건으로 소비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사면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계 어린이들에게 기부하는 일대일 공식(One for one)의 착한 마케팅전략이 성공 배경이다. 사회공동체의 가치 실현과 인류의 미래를 위한 공헌활동이 핵심 경영이다.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가치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정부정책의 한계와 사회적 빈틈을 해소하고 소외계층을 구제해 줄 수 있는 대안이 사회적기업이기 때문이다. 영리기업보다 사회적기업은 인력, 재정, 기술 등에서 열세다. 따라서 창의적 아이디어와 기업가 정신이 더욱 요구된다. 정부는 기술기반의 사회적기업인 양성시스템 구축 및 정년퇴직한 고급인력의 활용으로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생태계가 필요하다. 사회적기업은 고용, 제품 및 서비스 등 사회적 효용을 창출하지만 경영에서는 영리기업과 같은 효율적 경영으로 경제적 자립을 성취할 지원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2012-11-2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