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050 야권성향↑·지역주의 약화… ‘세대별 투표율’ 최대 변수

4050 야권성향↑·지역주의 약화… ‘세대별 투표율’ 최대 변수

입력 2012-10-22 00:00
업데이트 2012-10-22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대선 가를 ‘세대별 투표율’… 각 캠프별 비상대응

대선 후보 캠프마다 세대별 투표율이 초미의 관심사다. 현재까지의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실제 대선 투표율에 적용할 경우 승패가 뒤바뀌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 세대별로 천차만별인 ‘투표 탄력성’ 때문이다. 야권 성향인 젊은 층의 경우 지지율은 높지만 정작 투표장에는 가지 않아 투표율이 저조한 반면 보수 성향의 고연령대는 지지율과 투표율이 일치하는 이른바 ‘투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미지 확대


20·30대의 투표율이 2002년 16대 대선 때보다 5,10% 포인트씩 높아져도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에게 모두 진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만 10% 포인트 높아질 때 0.6% 포인트 차이로 이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20대의 성향이 탈이념과 실용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도 반영된 듯하다. 야권 측에서 보면 후보 단일화가 되더라도 결코 대선 결과를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투표탄력성이 세대별로 달라 투표율이 높아지면 야권 후보들의 분위기는 좋아지겠지만 결과를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박 후보에게 유리한 상황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우선 40대가 달라졌다. 16대 대선 때 노무현·이회창 두 후보에 대한 지지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2002년 대선 때 7만명을 대상으로 한 출구조사 결과 40대는 노 후보 48.1%, 이 후보 47.9%의 지지율을 보였다. 윤 실장은 “지난 4월 총선에서는 여당이 승리했지만 40대에서는 야권성향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50대도 달라졌다. 386세대가 50대에 진입하면서 보수후보만 바라보던 이전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이 10년 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열광했던 세대였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지역주의가 약해지고 있는 점도 주요 변수다. 2002년 대선 당시 부산에서 이 후보는 65%, 노 후보는 29.8%의 표를 얻었다. 하지만 올 대선에서 여권 후보인 박 후보가 부산·경남·울산(PK)에서 65%의 지지율을 얻기는 힘들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역주의가 약화되면서 대구·경북 등에서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세대별 투표 경향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이런 분석에서 출발한다. 김형준 명지대 정외과 교수는 “단순히 20·30대 투표율이 낮아 박 후보가 유리하다는 가설은 성립되기 어렵다.”면서 “지난 4월 총선투표율(54.3%)이 17대 대선 투표율(63.2%) 수준이 되려면 세대별로 20~40대 투표율은 28% 포인트, 50~60대도 13% 포인트 정도 더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20대부터 40대까지 투표율을 하나로 묶고 50대 이상 투표율을 하나로 묶어 비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올 대선은 야권 후보 단일화 등에 따라 여론이 요동치며 크게 출렁일 것이기 때문에 결국엔 49대51의 싸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각 후보 캠프도 이런 상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새누리당이 최근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 등에서 강공을 펼치는 것도 지지표를 결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정수장학회 문제를 이슈화하고 있는 민주당은 여기에 투표시간 연장과 20·30세대 투표 독려 등의 전략을 더했다. 안 후보 측도 최근 청년자문단을 만들어 세대별 공략을 하고 있다. 청년자문단이 20대 청년들의 정책제안을 받는 동시에 50~60대를 찾아다니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령층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10-22 5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