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5·11 입양의 날] 입양아 ‘고독’을 말하다

[5·11 입양의 날] 입양아 ‘고독’을 말하다

입력 2012-05-11 00:00
업데이트 2012-05-11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외입양인 모임 ‘트랙’의 트렌카 대표 “내 아픔 양부모 100% 이해 못해…좋은 입양은 없어요 차선책일 뿐”

암울했던 시절인 1972년 제인 정 트렌카(40)는 생후 6개월 만에 언니와 함께 미국에 입양됐다. 가정폭력에 시달리던 어머니는 자식들에게 같은 고통을 겪게 하고 싶지 않았다. 정경아라는 한국 이름은 몇 번 불리지도 못한 채 지워졌다.

이미지 확대
‘트랙’의 트렌카 대표
‘트랙’의 트렌카 대표
입양 기관은 어머니에게 “변호사 집안에서 유복하게 자랄 수 있다.”고 했다. 거짓말이었다. 미국인 양아버지는 미네소타의 금속공장에 다니는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 양어머니는 가끔씩 공장에 나가거나 비서일을 했다. 무엇보다 양부모는 입양된 딸의 뿌리가 한국이라는 걸 이해하지 못했다.

다섯 살 때였다. 유치원에 특별한 물건을 들고 가서 설명하는 행사가 있었다. 입양을 보내며 친어머니가 넣어 준 한복이 생각났다. 선생님과 친구들 앞에서 한복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이 옷은요, …” 말문이 막혔다. 왜 그 한복이 특별한지,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없었다. “‘나는 어디에서 온 거지’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왜 친어머니가 나를 키우지 않았는지 알고 싶었죠.”

미국인 어머니는 트렌카의 질문에 침묵했다. 어머니가 등을 돌려 걸어나가는 순간 그는 입양의 아픔을 양부모에게는 결코 털어놓을 수 없다는 걸 깨달았다.

부모와 갈등을 겪으며 정체성을 고민하던 트렌카는 2008년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 모임 트랙(TRACK)을 시작했다. 비슷한 경험을 가진 해외입양인 수십명이 모였다. 이들에게 입양은 아픈 기억이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입양의 날’을 ‘싱글맘의 날’로 바꾸자고 요구하기 시작했다. 상처만 남기는 입양을 지원할 게 아니라 아이와 어머니가 함께할 수 있도록 두리모(미혼모)를 지원하자는 취지였다.

“한국인들은 흔히 아이가 어느 문화든 잘 적응할 거라고 믿죠. 어리니까요. 하지만 그건 판타지에 불과해요.” 트렌카는 단호하게 말한다.

입양인의 관점에서 트랙이 요구하는 건 두리모가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두리모가 아이를 포기하는 이유는 사회의 따가운 시선과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고, 국내 입양은 그 다음이다. 해외 입양은 최후의 수단이다. 그는 “목표는 고아원과 입양이 사라지는 일”이라고 말한다.

트랙은 해외 입양인을 지원하는 시민단체 ‘뿌리의 집’과 함께 11일 ‘싱글맘의 날 국제 콘퍼런스’를 갖는다. 그는 말한다. “좋은 입양이란 없어요. 차선의 선택일 뿐이지.”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5-11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