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광장] 전환기를 맞은 대한민국/최용규 논설위원

[서울광장] 전환기를 맞은 대한민국/최용규 논설위원

입력 2011-10-01 00:00
업데이트 2011-10-01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용규 논설위원
최용규 논설위원
지금 대한민국은 역사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달 전 ‘안철수 돌풍’은 한국사회가 격변기가 아닌 전환기에 처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이자 예고편이다. 집채만 한 성난 파도가 우뚝 서 뭍으로 달려오기 전 먼저 들이닥치는 것이 강풍이다. 이 바람은 두려움과 공포를 함께 몰고 온다. 그러나 심중을 교란시킨 바람은 곧 잦아들고 잠깐 동안의 불안한 평화를 느끼게 한다. 요즘 상황이 딱 그렇다.

안철수 돌풍에 넋이 나갔던 정치권은 어느새 혼미한 정신을 수습하고 달콤한 휴식에 빠져들었다. 안풍(安風)을 눈깜짝할 사이에 분 ‘여우바람’ 정도로 치부한다. 확 바꾸지 않으면 다 죽는다는 절박감은 한달도 안 돼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그들 얼굴 어느 곳에서도 불안하거나 불편한 기색을 찾아볼 수 없다. 곧 서울시장 보궐선거도 있고, 내년엔 총선과 대선… 그들 앞에 쫙 펼쳐진 정치판에서 자신들이 주인공인 양 기세를 올리며 정치의 계절을 향유하고 있다. 뼛속까지 파고 든 바람의 경고도 이미 잊었다.

바람은 스스로 부는 법이 없으며, 뒤따라 올 파도 역시 스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것을 날려버리고 삼킬 듯한 강풍과 성난 파도를 만들고 움직이는 것은 태풍의 핵이다. 안철수는 분명 강풍이었고, 확 지나갔다.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파도일 것이다. 정치권이 안철수를 지나가는 바람으로 본 것은 틀린 진단은 아니다. 그래서 자기들만의 해석으로 불안과 공포에서 벗어났다. 안풍을 안철수에 의해, 안철수가 만든 바람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게 사실이라면 오진을 했어도 크게 했다. 안풍 뒤에는, 아니 안철수 바람을 만들어낸 동인은 태풍의 핵, 바로 국민이다. 그런데 정치권은 안철수에만 넋이 나가 그에게 집중했지 정작 안풍을 일게 한 국민에 대해서는 천착하지 않았다.

국민은 눈웃음 치는 서글서글한 모습에 끌려서, 귀공자 티 나는 용모에 반해서 그를 밀어올린 것이 아니다. ‘상식과 비상식’이란 안철수 철학이 수십년간 드러내지 못하고 심중에 숨겨두었던 마음과 닿았기 때문이다. 국민은 상식을 기치로 내건 안철수를 통해 진절머리 나는 한국의 정치판을 바꾸려 했다. 낡은 정치판과 함께 한국사회의 핏빛 상쟁의 뿌리인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 전라도와 경상도 같은 생사람 잡는 구도를 깨주길 원했던 것이다. 안철수는 일단 뜻을 접었지만 국민은 꺾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독이 더 올라 있다. 지금의 고요함과 느림은 가공할 위력의 전조다. 빠른 속도로 치고 올라오는 태풍보다 굼벵이처럼 느린 태풍의 위력과 반경이 훨씬 크다. 조짐은 서울시장 선거에서 나타날 것이다. 전율을 느끼게 할 파괴력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우리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중요한 것은 누가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느냐이다. 기회는 한쪽에만 있는 것도 아니고, 기존 정당의 전유물도 아니다.

땜질하거나 적당히 수선해선 기회를 잡을 수 없다. 쭈글쭈글한 얼굴을 보톡스로 펴고, 화장을 고친다고 될 일이 아니다. 정치권은 국민의 요구와 바람을 직시해야 한다. 고치고 바꾸라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창조하라는 것이다. 지금의 낡은 정치판을 완전히 뒤엎고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가 아닌 새로운 이데올로기로 정치·사회사를 다시 쓰라는 명령이다. 상식이 됐든 뭐가 됐든 국민의 절실한 마음을 담을 새로운 이념을 창출해야 한다. 국민은 이를 통해 밝은 미래를 보고 싶어한다. 정치인들은 입만 열면 주문 외듯 ‘민심은 천심’이니, ‘국민의 뜻’이니 한다. 옛말에 ‘순천자(順天者)는 흥(興)하고 역천자(逆天者)는 망(亡)한다.’고 했다. 순리대로, 민심대로 하라는 뜻이다. 민심은 보수와 우파가 단결하라는 것도, 진보와 좌파가 힘을 모으라는 것도 아니다. 다 허물고 국민을 통합할 새로운 사상과 이념으로 다시 시작하라는 것이다. 해방 후 이런 기회는 없었다. 잔인한 상쟁의 현대사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힐 기회다. 중대한 역사의 전환기이다.

ykchoi@seoul.co.kr
2011-10-01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