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대, 정치를 묻다] “20대는 캐스팅보트 선거 통해 목소리 내야”

[20대, 정치를 묻다] “20대는 캐스팅보트 선거 통해 목소리 내야”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대 유권자 운동’ 펼친 한국청년연합 김성환 대표

지난 8일 오후 3시 서울 장충동 한국청년연합 사무실에서 ‘20대 유권자 운동’ 김성환(28)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단체 활동가이지만 현재 중앙대 국제관계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재작년부터 20대를 위한 단체활동에 몸담아 온 김 대표는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는 청년층의 커피파티(커피를 마시며 정치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를 주도하는 등 20대의 적극적 정치 참여를 독려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지금 20대가 자신의 목소리를 좀 더 잘 낼 수 있는 공간은 ‘선거’”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대표와의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가.

-요즘 대학생들은 취직 준비, 스펙 쌓기에 바쁘지 않나. 하지만 그렇게 해도 원하는 건 이루기 어렵다. 집안 환경, 학벌 부족 등 내가 문제가 있어서 취업하기 어려운 것인가를 생각해 봤다.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 문제라는 인식이 있었다. 그런 가운데 어떻게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과거 학생 운동과 달리 우리 세대에 맞는 것이 뭐가 있을까 생각했을 때 바로 ‘선거’이자 ‘투표’라고 봤다. 그래서 20대 유권자 운동을 시작하게 됐다.

→선거가 중요한 것은 대부분 잘 알고 있지 않나.

-그렇지만 실제로는 20대의 투표율이 낮지 않나. 최근 지방선거에서 20대 투표율이 높았을 뿐이다. 낮에는 취직 준비를 하고 밤에는 정치적 운동을 하는 게 쉽지 않다. 하지만 선거라는 공간을 잘 활용하면 20대 목소리를 좀 더 잘 낼 수 있다고 본다. 특히 기성세대가 청년들에게 관심 갖는 시기는 선거다. 40, 50대 표는 어디로 갈 것인지 규정돼 있고 투표 안 하는 20대 친구들이 반대로 어디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당락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20대가 캐스팅보트라고 본다. 따라서 20대가 요구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선거를 통해서 보여 줘야 한다.

→20대는 정치에 관심 없지 않은가.

-관심 없는 게 아니라 무관심할 수밖에 없다. 투표율이 낮다는 것으로 20대가 정치에 관심 없다고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정치라는 공간이 20대 공간이 아닌 것처럼 느꼈다. 20대가 정치하려면 정당에 들어가 당원이 돼야 한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막상 그렇게 해 봤자 소수 의견밖에 되지 않는다. 실제로 그렇게 들어간 이들이 20대를 위한 정책을 펴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 오히려 반값 등록금 집회를 통해 모인 수많은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고 이 목소리가 사회 이슈화돼서 정책으로 나오고 있다.

→반값 등록금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반값 등록금 문제는 정권의 의지 문제다. 자원을 어느 우선 순위에 두고 분배할 것이냐다. 반값 등록금이 이슈화되는 것을 더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본다. 과거에는 우리가 목소리를 내도 아무도 듣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기성세대가 우리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것만 봐도 기성세대가 20대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방증이다. 따라서 집회는 계속 이어져야 하고 다음 의제를 계속해서 만들어 내야 한다.

→기성세대와 지금 20대의 정치 참여 방식은 어떻게 다른가.

-연대의 방식이 조금 달라졌다. 당사자 운동의 틀이 깨졌다. 예를 들어 기성세대 문제를 20대가 관심 갖고 해결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홍익대 청소하시는 분들을 위한 집회도 가졌고, 연세대 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는 ‘살맛’이라는 동아리도 있다.

→앞으로 어떻게 20대의 정치참여를 독려하겠는가.

-지방선거 기간 때 개최했던 커피파티를 이어 나갈 것이다. 내년에는 대선, 총선 모두 있지 않나. 서울, 청주, 대구 등지에서 20대 커피파티 모임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서 자기 지역, 대학, 사회 문제 등을 공론화해 보려고 한다. 또 한 가지 생각하는 것은 국회의원 공개채용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전국 각지에서 면접을 보고 우리들의 대표를 뽑을 계획이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1-07-18 4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