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연구 많이 하면 감사 표적되는 현실/이광형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열린세상] 연구 많이 하면 감사 표적되는 현실/이광형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입력 2011-05-23 00:00
업데이트 2011-05-2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광형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이광형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미래산업 석좌교수
대통령을 서로 하기 싫어 하는 나라가 있다고 해보자. 이런 나라가 발전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런 현상이 지금 연구소와 대학의 연구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대규모 연구과제의 책임자 역할을 서로 기피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서로 하려던 자리다. 그동안의 업적을 인정받고 앞으로 더욱 실적을 낼 수 있는 명예로운 역할이었다.

대학 교수 등 연구자들의 연구비 유용 사건이 계속 터지고 있다. 연구자로서 참으로 면목 없는 일이다. 대학과 연구소에서 집행하는 돈은 대부분 국민의 세금이다. 연구비를 규정에 어긋나게 사용하는 일은 어떤 말로써도 변명할 수 없다.

우리 사회에서는 과학기술자에 대한 존경과 기대가 높다. 국가를 위하여 많은 연구 결과를 내어 주기를 바라고 동시에 높은 도덕 수준을 요구한다. 이런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잘못이 있을 때에는 더욱 엄정한 비판이 가해지고 처벌이 따르고 있다.

한달 전에 연구비 부당 집행 때문에 조사를 받던 교수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사건이 있었다. 뛰어난 연구 업적으로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던 교수였기에 충격이 더 컸다. 나는 그 소식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이 “아니, 저만한 과학자를 기르려면 또 몇 년을 기다려야 할까? 그리고 얼마나 투자해야 할까?” 하는 생각이었다. 몇 년에 한명 나올까 말까 하는 과학자를 잃었다.

문제가 된 돈이 2200만원이라고 한다. 명예와 자존심을 생명으로 생각하던 월드 스타로서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었을 것이다. 사회에서는 잘못이 있으면 그동안의 공로와 업적을 참작한다고 한다. 그러나 과학자에게는 이런 것이 적용되지 않는다. 오히려 기대가 컸던 만큼 채찍도 크다. 정부에서는 최종 확정되지도 않은 감사 내용을 외부에 흘려서 궁지로 몰았다.

그 후 들리는 제자의 증언이 더욱 가슴을 미어지게 한다. “제가 미국행 비행기를 타기 전에 교수님께서 책값에 보태 쓰라고 100만원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그 돈이 혹시….” 고인의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하버드 대학에 연구원으로 가 있는 제자다.

이번에 세상을 떠난 교수는 왕성한 연구자로 이름이 높았다. 많은 연구 과제를 끌어왔고 대규모 연구를 수행했다. 당연히 연구실에서 관리하는 연구비가 많았다. 그러니 일차적으로 감사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연구비 감사를 하는 감사 요원들은 우선적으로 연구비가 많은 교수를 조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금년에도 예년처럼 정부에서 지원하는 연구과제 공고가 많이 나오고 있다. 거의 모든 연구원과 교수들이 연구 과제를 따기 위하여 머리를 모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에 나타난 현상은 심상치 않다. 대형 연구과제의 경우에 연구책임자가 되는 것을 서로 기피하는 것이다. 남의 연구 과제에 들어가 중간 책임자가 되는 것을 선호한다. 책임자의 개인적인 이익보다 성과의 중압감과 행정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필자가 소속된 대학에 국한된 일이 아니다. 상당히 많은 대학에 널리 퍼져 있는 분위기다.

인간은 항상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동물이다. 연구를 많이 하면 힘들다는 현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책임에 비하여 이익이 적고 ‘감사 표적’이 되는 상황에 적응하기 시작한 것이다. 최근 불행한 사건이 있은 이후에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평균 정도의 연구비를 유지하는 것을 가장 현명한 활동 수준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혹시 현재의 연구비 관리 규정이 ‘성과’보다 ‘관리’에 치중하게 만들어진 것은 아닌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수많은 연구가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정작 성공은 연구비 관리가 성공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나는 연구책임자 기피 현상을 가벼이 볼 일이 아니라 생각한다. 나라가 발전하려면 서로 앞에 나서려고 경쟁해야 한다. 연구책임자에게 재량권을 더 주든지 수당을 더 지급하든지 해서, 서로 하고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들어야 한다. 우리의 미래를 열어줄 사람은 결과를 내기 위해 온몸을 불사르는 연구자다.
2011-05-2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