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2010년 하회마을/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2010년 하회마을/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10-11-09 00:00
업데이트 2010-11-09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재에 얽힌 최고의 딜레마는 개발과 보존의 충돌이다. 선인의 혼이 담긴 유산은 보여주고 활용해야 한다는 개발론자들은 현실의 이익을 앞세운다. 이에 비해 원형 훼손을 우려하는 보존론자들은 개발에 따른 상실의 위험을 강조한다. 이 땅에서도 그 대립은 언제부터인가 보존 쪽으로 기운 듯하다. 훼손된 문화재의 복원은 허울의 재생일 뿐 원 가치의 철저한 멸실이란 생각의 우세인 셈이다.

개발과 보존의 충돌에서 유네스코는 철저하게 보존의 편에 선다. 유네스코가 1972년 마련한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지정해온 세계유산도 보존을 위한 개발의 차단이 시초다. 이집트 아스완댐 건설로 수몰위험에 처한 ‘누비아 유적’을 지키기 위해 세계의 학자들이 만든 게 세계유산협약 아닌가. 그런 만큼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에 등재된 유산 소재국에 보존·관리의 엄중한 책임을 묻는다. 10곳의 세계문화유산을 가진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해야 할 현저한 보편적 가치’라는 세계유산의 기준으로 볼 때 우리는 인류공동의 유산 강국이다. 2010년 현재 지정된 세계유산은 151개국 911곳이고, 문화유산은 704곳. 두 자릿수의 문화유산을 보유한 나라가 24개국뿐이라니 자긍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자긍심 못지않게 책임이 크겠지만 속사정은 부끄럽다. 수원화성(1997년 등재) 서장대의 누각 2층이 방화로 소실됐고 경관과 원형 훼손 위기의 유산이 숱하다. 여전히 개발과 보존의 충돌이다.

지난 8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하회마을에서 즐거운 비명이 터져나온다. 올해 관람객 숫자가 어제로 100만명을 넘었단다. 등재 이전 7개월간 관람객이 48만여명 수준이었던 데 견줘 등재 후 석달간 무려 50만여명이 찾았으니 세계유산의 효과가 크긴 큰가 보다. 하회마을의 즐거운 비명에 가린 안동시의 걱정이 작지 않아 보인다. 한국의 대표적 씨족마을 훼손에 대한 우려다. 변변한 숙박·편의 시설이며 콘텐츠를 갖추지 못한 상태이다. 가뜩이나 세계문화유산 등재 한달도 안돼 마을 오수처리시설에서 화재가 난 하회마을이다.

하회마을을 찾은 영국여왕 엘리자베스2세는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간직한 곳”이라며 극찬했다. 이중환의 택리지며 일본학자 무라야마 지준의 ‘조선의 풍수’등엔 빼어난 길지로 전할 만큼 안동은 보존의 가치가 큰 곳이다. 개발과 관광의 욕심으로 현대식 다리를 지었다는 이유로 세계유산에서 삭제된 독일 엘베 계곡의 전철은 밟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0-11-09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