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G2 노골적 ‘新냉전’

G2 노골적 ‘新냉전’

입력 2010-07-31 00:00
업데이트 2010-07-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천안함 이후 중국 고삐죄며 공세모드 中, 남중국해 거론에 발끈하며 방어모드

미국과 중국이 정치적으로 충돌하거나 불협화음을 내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미·중 신(新)냉전이란 말은 이제 별로 불편하지 않게 쓰이고 있다. 특이한 점은, 미국의 자세가 전에 비해 공세적이고 노골적으로 변모했다는 것이다.

기점은 천안함 사건이다. 그 이전만 하더라도 미국은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조심스러워했다. 지난 2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를 초청했을 때 백악관은 두 사람의 회동을 비공개로 하고 만남의 격을 낮췄다. 중국의 불만을 다분히 의식한 몸사림이었다.

이미지 확대
●美, 北 편드는 中 약점 포착

그러던 기조가 천안함 사건 이후 달라졌다. 미국은 거침이 없어졌다. 중국이 가해자인 북한을 무작정 비호하고 나서는 과정에서 드러낸 도덕적 허약감이 역으로 미국에 도덕적 우월감을 불어넣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북한을 편드느라 허둥대는 중국의 모습에서 약점을 포착해 자신감이 생겼을 수도 있고, 아니면 합리성을 결여한 중국의 태생적 한계를 새삼 지각하고 적절히 채찍을 가해야 한다고 마음을 고쳐먹었을 수도 있다. 어떤 생각의 발로에서건 미국은 지금이야말로 중국의 고삐를 쥘 절호의 타이밍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미지 확대
미국의 ‘새로운’ 의중은 서해 한·미 연합훈련 건에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것은 중국의 강력한 반발을 불렀고 미국은 훈련 장소를 동해로 옮겼다. 얼핏 보면 중국에 밀린 듯한 모양새지만, ‘칼집 속의 칼’을 뽑지 않고 미래의 지렛대(leverage)로 남겨 놓았다는 분석이 설득력 있다.

지난 23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미국이 중국과 동남아 일부 국가 간 영토분쟁인 남중국해 문제에 느닷없이 끼어든 것 역시 대충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당시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자유롭게 항해하는 데 국가적인 이해를 갖고 있다.”면서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강압이나 위협 없이 해결돼야 한다.”고 치고 나왔다. 누가 봐도 중국의 패권을 겨냥한 발언이었다.

허를 찔린 중국은 발끈했다. 양제츠 외교부장은 발언의 90% 이상을 ‘남중국해 방어’에 할애했다. 그래도 분이 안 풀렸는지 중국 외교부는 이틀 뒤 성명을 통해 남중국해는 미국이 끼어들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환추(環球)시보는 28일 중국의 위기감을 이렇게 알렸다. “동해 한·미연합군사훈련에 이어 남중국해 문제로 미국이 중국의 남북 전방위로 만리장성을 쌓으며 포위하려고 한다.”

●미·중, 미얀마로 확전 가능성

이제 미·중 간 전선은 미얀마 쪽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차관보는 29일 “우리는 북한과 미얀마 관계의 성격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힐러리는 북한과 미얀마 간의 무기와 핵프로그램 거래에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아직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대북 추가 금융제재에 대해서도 중국은 입을 닫고 있다. 로버트 아인혼 미 대북제재 조정관이 다음 달 말쯤 중국을 방문할 때 어떤 반응이 나올지 관심이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07-31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