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또 4년의 개혁을 말하는 서남표 KAIST 총장

또 4년의 개혁을 말하는 서남표 KAIST 총장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제 알았다, 해결책 찾을 수 있다… 귀는 열겠다”

2일 오전 서울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연임이 확정된 서남표 KAIST 총장은 이사회가 끝나자마자 세종로 정부종합청사를 찾아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 만났다.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던 탓인지 핼쑥한 모습이었지만, 표정은 모든 것을 털어낸 듯 가볍고 밝아 보였다. 그는 “처음에는 저의 연임 문제가 이렇게 큰 이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다 제가 덕이 모자란 탓”이라며 소회를 밝혔다. 교과부 내에서도 “규정의 해석을 두고 실무 차원에서 약간의 시각차가 있었을 뿐 다른 문제는 전혀 없다.”며 그동안의 갈등을 봉합하려는 자세를 취했다.

안 장관과 접견을 끝낸 서 총장을 만나 향후 4년간 KAIST를 이끌 청사진을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대답은 명료했다. 서 총장은 “바뀐 것은 없다. 체질을 강화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세계 제일의 공과대학교를 만드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는 “그런데 그게 가만히 앉아 있어서 되는 일이 아니다. 할 일이 많다. 힘을 합쳐서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총장은 “KAIST의 문제는 하루아침에 생긴 것이 아니다.”라면서 “조직을 합치고 하면서 40년간 누적된 폐단이고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사회에서 압도적인 지지(찬성16, 반대2)로 연임에 성공한 서남표(가운데) 총장이 소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잘 하라는 의미로 알겠다.”고 답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2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사회에서 압도적인 지지(찬성16, 반대2)로 연임에 성공한 서남표(가운데) 총장이 소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잘 하라는 의미로 알겠다.”고 답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서 총장을 잘 아는 이들은 그의 장점으로, 감춰진 문제를 적출해 내는 능력을 꼽는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서 총장의 평소 지론과도 부합하는 능력이다. KAIST에서 서 총장이 심혈을 기울인 사업이면서 또한 사회적 논쟁을 유발하기도 한 2가지 핵심프로젝트인 ‘온라인 전기차 사업’과 ‘모바일 하버(움직이는 부두) 사업’도 문제를 먼저 찾아내 해법을 모색하는 그의 사고방식이 작동한 결과라는 평가가 많다.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게 비경제적이고 불편하다는 문제의식이 도로에 전선을 매설해, 달리면서 충전할 수 있는 온라인 전기차를 만들어내게 했다. 모바일 하버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큰 배가 부두에 접안하지 못하면, 부두를 움직이면 된다는 발상의 전환이 얻은 성과였다.

그런 서 총장에게도 KAIST와 우리 과학기술 분야에 내재된 문제는 한눈에 파악하기가 어려웠을까. 서 총장이 현안의 하나로 지적한 교수 고령화 문제에서 문제의 복잡성과 함께 해결의 어려움을 읽을 수 있었다. 서 총장은 “지금 KAIST에 55세를 넘은 분들이 많은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적지 않은 예산이 필요하다.”면서 “한동안은 젊은 분들을 많이 뽑아야 하는데….”라고 말꼬리를 뺐다. KAIST 내부 개혁의 핵심 사안이기도 해서인지 고민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KAIST가 세계적인 연구의 모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융·복합 분야의 젊은 교수를 뽑아야 하지 않느냐고 방향을 잡았다.

서 총장은 “과학과 인문학을 폭넓게 공부한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다.”면서 “그래도 계속 찾고 있고, 최근에도 한 젊은 교수를 영입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KAIST에서 전산학을 전공하고,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에 있다가 최근 우리 학교로 왔는데, 전공과 관계 없이 문화과학대 교수로 임용했다.”고 전했다. 최근 5000만건의 트위터 사용자 정보와 17억개의 트위터메시지 등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 “많은 팔로어를 가진 사람이 인기 있는 트위터일 수 있지만 그렇다고 영향력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다.”라는 연구를 해낸 차미영 박사를 지칭한 말이다. 차 박사의 이력을 줄줄 외우는 서 총장의 모습에서 그가 추구하는 KAIST 개혁이 ‘사람’에서 시작해 ‘사람’으로 이어지고, ‘사람’을 지향한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그의 연임을 앞두고 터져 나온 학내 반발도 돌이켜보면 ‘사람’의 문제였다. 한때 KAIST 내부에서는 서 총장의 개혁이 소통의 부재에서 기인한다는 목소리가 분출됐었다. 서 총장이 주력사업을 잘 포장해 국가기관인 KAIST를 사유화한다는 비판도 터져 나왔다. 그래서일까. 온라인 전기차와 모바일 하버사업 이후에 앞으로 개척할 분야가 무엇인지를 묻자 “(그의 방침에 맞섰던 사람들이) 사업을 더 만들고, 벌일까 무서워하는 바람에 이렇게 연임 과정이 어려웠던 게 아니냐.”고 말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7-03 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