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순할머니들의 특별한 6·25

금순할머니들의 특별한 6·25

입력 2010-06-23 00:00
업데이트 2010-06-23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속박물관 ‘굳세어라’展 월남한 12인 초청 위안잔치

“피란 간다.”는 말만 듣고 부모를 따라나섰다. 아버지는 집문서며 금붙이를 구덩이에 파묻고는 “두 달이면 돌아올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그날 함경남도 흥남부두에서 거제도행 LST수송선을 탄 주금순(69) 할머니는 지금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올해로 60년째다.

이미지 확대
12명의 ‘금순 할머니’들이 22일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굳세어라, 금순아’ 노래반주에 맞춰 손뼉을 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12명의 ‘금순 할머니’들이 22일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굳세어라, 금순아’ 노래반주에 맞춰 손뼉을 치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그래도 할머니는 살아남은 사실 자체를 고맙게 생각한다. 피란 당시 할머니와 가족들은 미군들이 내민 손을 붙잡고 간신히 배에 올라탔었다. 그러나 수많은 이들이 배에 타지 못했다. 금순 할머니는 “물 속에서 울부짖던 그들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며 눈시울을 적셨다. “그때는 너무 어려 그게 무슨 의미인지도 몰랐다.”며.

6·25전쟁 60주년을 앞두고 서울 삼청동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는 22일 특별한 잔치가 열렸다. ‘금순 할머니 위안잔치’였다. 박물관이 6·25 특별전 ‘굳세어라, 금순아’ 개막에 맞춰 전국의 ‘금순 할머니’를 수소문해 연 합동잔치였다. 전쟁을 겪고 월남했으며 이름이 금순이인 사람이 대상이었다. 그렇게 모인 할머니는 주금순, 한금순, 송금순, 유금순, 김금순, 고금순, 차금순 등 12명.

‘금순 할머니’들의 사연은 저마다 절절했다. 오래전 기억이지만 할머니들에게 전쟁은 남의 일처럼 쉽게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송금순(71) 할머니는 “북에 살 때 돌피를 훑어 먹으며 연명했다.”고 회상하다가 눈물을 쏟았다. ‘시누·올케 금순이’ 사연도 각별했다. 유금순(73), 김금순(64) 할머니는 각각 황해도 연안과 개풍이 고향. 유 할머니는 남한으로 피란 와 결혼했는데 알고 보니 북에서 왔다는 시누이 이름도 ‘금순’이었다.

시작은 무거웠지만 잔치는 이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변했다. 할머니들은 비슷한 운명의 다른 ‘금순 할매’들과 마주 앉아 오랜 벗처럼 이야기꽃을 피웠다. ‘눈보라가 휘날리던 바람 찬 흥남 부두에~’. 할머니들의 주제가나 마찬가지인 노랫가락이 흘러나오자 분위기는 절정에 이르렀다. 노래 소감을 묻자 금순 할머니들은 입을 모아 답한다. “말도 마, 저 노래 때문에 어려서 얼마나 놀림받았는데…. 그래도 돌아보면 저 노래 들으며 힘을 얻은 것 같기도 해.”

8월23일까지 계속되는 ‘굳세어라, 금순아’ 전에서는 전쟁 당시 사용된 ‘삐라’, 전쟁용품 등을 만날 수 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6-23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