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중국은 무엇이 두려운가/박홍환 베이징특파원

[특파원 칼럼] 중국은 무엇이 두려운가/박홍환 베이징특파원

입력 2010-06-19 00:00
업데이트 2010-06-19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달 5일이면 중국 신장(新彊)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에서 위구르족과 한족 간 충돌이 발생한 지 꼭 1년이 된다. ‘차별철폐’를 주장하며 시위에 나선 위구르인들은 거리에서 마주치는 한족 주민들을 상대로 무차별적인 폭력을 행사했고, 한족의 보복 폭력이 이어지면서 200여명의 아까운 생명이 희생됐다.

이미지 확대
박홍환 사회부 차장
박홍환 사회부 차장
어떤 이유로도 폭력은 정당화될 수 없지만 당시 위구르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들이 약자였기 때문이다.

우루무치 시정부 청사 앞 인민광장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진군 기념탑’이 솟아 있다. 1949년 10월12일 왕전(王震) 장군이 8만여명의 병력을 이끌고 신장을 ‘접수’한 이후 중국은 개발 명목으로 한족들을 대거 신장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인구 200만명인 우루무치의 위구르족과 한족 비율은 24%대75%로 완전히 역전됐다. 돈 되는 사업은 한족들 차지가 됐고, 위구르인들은 그저 ‘양고기 꼬치’를 팔며 생계를 이어갈 뿐이라는 푸념이 그치지 않는다. 위구르 젊은이들은 미래에 대한 희망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중국 정부는 낙후된 신장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최근 열린 회의에서 향후 5년 내에 신장지역 주민 소득을 전국 평균 수준으로 높이라고 특별지시했다. ‘당근’으로 지역 안정을 꾀하겠다는 얘기다. 지난해 9월에도 ‘주사기 테러’가 발생하는 등 신장 지역의 안정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해 파견됐던 대규모 무장경찰 병력이 원대복귀했다는 얘기도 들리지 않는다. 유혈시위 사태 1주년을 맞아 20일부터 한 달간 우루무치 공안은 특별 경계상태에 돌입한다. 말단 파출소에 1000여명의 병력이 추가로 배치되고, 정밀 호구조사를 통한 예비검속도 예상된다. ‘반역의 땅’인 신장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남아 있다.

중국 정부는 서부대개발 10주년을 맞아 이달부터 9월까지 매달 한 차례씩 외신기자들을 상대로 시짱(西藏·티베트)과 신장자치구 등 서부지역을 취재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첫 번째로 28일부터 7월2일까지 티베트 라싸(拉薩) 지역이 공개된다. 라싸는 2008년 3월 유혈시위가 발생했던 곳이다. 당시 티베트인들은 지난해의 위구르인들과 마찬가지로 한족 주민들을 폭행하고, 그들의 상점에 불을 질렀다. 한족의 급속한 유입으로 티베트인들의 생존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이 또한 위구르인들의 생각과 비슷하다. 티베트의 미래 청사진을 잇달아 발표하는 등 신장과 마찬가지로 대대적인 당근책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라싸 사태 이후 자국민들의 티베트 관광은 적극 장려하면서도 외신기자들의 티베트 접근은 철저히 봉쇄해 왔다. 중국 정부가 지정하는 장소 외에는 개별적인 취재가 허용되지 않지만 많은 외신기자들이 이번 취재를 기대하고 있는 것도 흔치 않은 기회가 찾아왔기 때문이다. 외신기자들의 ‘기대’와 중국 정부의 ‘희망’ 사이에는 간극이 크다. 티베트인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듣고 싶어 하는 외신들과는 달리 중국 정부는 서부대개발로 발전하고 있는 시짱의 오늘과 중국 인민해방군에 의해 농노의 신분에서 해방돼 자유를 구가하고 있는 짱족의 오늘에 외신들이 주목하길 원하고 있다.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던 조캉사원 등에 대한 취재는 예정돼 있지 않다.

지난해 말 티베트의 유명 민중가수 자시둔둡은 ‘반동노래 유포 및 공연’ 혐의로 1년7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자시 외에도 많은 작가, 예술가, 블로거 등 티베트의 지식인들이 당국의 철저한 감시 속에서도 끈질기게 티베트의 목소리를 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루무치와 라싸 사태는 56개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중국이 갖고 있는 민족 간 갈등의 근원과 위기를 여지 없이 보여 줬다. 채찍과 당근은 미봉책이고, 장벽으로 진실을 가릴 수는 없다. 중국은 과연 무엇을 두려워하는가. 티베트 취재를 앞둔 기자들은 단지 진실을 알고 싶을 뿐이다.

stinger@seoul.co.kr
2010-06-19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