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존 조선다리중 가장 긴 살곶이다리 복원

현존 조선다리중 가장 긴 살곶이다리 복원

입력 2009-12-02 12:00
업데이트 2009-12-02 1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성동구가 살곶이다리 복원에 나선다.

성동구는 내년 2월까지 사적 제160호인 살곶이다리의 원형보전 및 주변환경개선을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살곶이다리의 규모를 파악하고 확인되지 않은 유구의 부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한양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에 나선다.

살곶이다리는 조선시대 서울과 한반도 동남부를 잇는 주요 교통로에 세워진 다리로 1420년(세종 2년)에 다리를 짓기 시작해 1483년(성종 14년)에 완공했다. 살곶이라는 지명은 상왕인 태조가 태종과 갈등을 겪을 때, 태조가 겨눈 화살이 태종이 있던 그늘막의 기둥에 꽂혔다는 일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교각은 4개씩 열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 안쪽 2개의 기둥 높이를 약간 낮춰서 다리의 무게중심을 중앙에 뒀다. 교각의 위쪽은 가로대를 하나 놓고, 그 위에 긴 석재로 틀을 짜고 사이에 판석을 깔아서 마치 마룻바닥과 같이 평평한 바닥을 만들었다. 이 때문에 평평한 다리라는 뜻으로 제반교(濟盤橋)라고 불리기도 했다.

살곶이다리의 길이는 76m로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다리 중에서 가장 길고, 일체의 난간이나 장식을 하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1920년 홍수로 다리의 일부가 유실되었으나 이를 72년에 보수했다. 이 때 과거보다 하천의 폭이 넓어져 동쪽 끝에 콘크리트 다리를 이어 붙였다.

이번 발굴조사는 물막이 공사를 포함해 살곶이다리 주변 약 1200㎡를 대상으로 문헌자료 등을 통한 사전 조사와 약 1개월간의 살곶이다리 교각 하부층 전면 제토조사, 퇴적층 제거 및 유구·유물 발굴, 향후 처리방향에 대한 자문을 위한 지도위원회 개최 등의 현장조사와 발굴보고서 작성 등을 거치게 된다.

김영갑 문화공보과장은 “이번 발굴조사 결과에 따라 문화재청, 시 문화재과 등과 협의, 살곶이다리의 원형복원과 주변환경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9-12-02 2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