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무현 前대통령 서거] 1차조사 “함께 있었다” 2차조사땐 “혼자였다”

[노무현 前대통령 서거] 1차조사 “함께 있었다” 2차조사땐 “혼자였다”

입력 2009-05-27 00:00
업데이트 2009-05-27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혹의 투신 직전 25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투신할 당시 경호관이 없었던 것으로 26일 확인됨에 따라 노 전 대통령의 서거 당일 행적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찰은 1·2차 수사결과를 통해 이병춘 경호관이 노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노 전 대통령 부모의 위패가 모셔진 봉화산의 사찰 정토원에 들른 사실을 발표하지 않은 데다 서거 당일 이 경호관이 노 전 대통령 곁에 없었다는 점을 서거한 지 4일이 지난 뒤에야 밝히는 등 부실 수사와 그 배경에 대한 의문점이 증폭되고 있다.

●부엉이바위→정토원→부엉이바위

이미지 확대
26일 정토원 관계자 등의 발언을 종합하면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3일 오전 6시20분부터 45분까지 25분간 부엉이바위에 머무는 사이에 이 경호관에게 잠시 정토원에 들러 정토원 원장이 있는지 확인하라고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이 정토원에 들렀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정토원은 부엉이바위에서 250m쯤 떨어져 있는 사찰이다.

노 전 대통령은 이날 부엉이바위에서 5분간 머문 뒤 부모의 위패가 모셔진 정토원에서 하직 인사를 하고 이동하면서 15분을 보냈고, 다시 부엉이바위에서 5분간 머물다 몸을 던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수사결과 발표에서 고인이 부엉이바위에서 회한의 시간을 보내다 이 경호관이 제지할 틈도 없이 몸을 던졌다고 했다.

정토원 선진규 원장은 26일 “당일 새벽 이 경호관이 찾아와 ‘원장님 계시느냐.’고 물었고, (내가) ‘VIP(대통령)도 함께 오셨느냐.’고 물었더니 이 경호관이 확실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선 원장은 “나는 노 전 대통령의 모습을 보지 못했으나 사찰에서 음식조리를 담당하는 보살이 ‘노 전 대통령이 법당에 모셔진 부모님의 위패에 예를 표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 경호관의 정토원 방문 사실과 노 전 대통령의 정토원 방문 여부에 대한 경위파악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경호관이 ‘정토원쪽으로 갔다가 되돌아왔다.’고만 진술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와 관련, “노 전 대통령께서 경호관에게 정토원에 가보자고 했고, 선 법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라고 한 지시를 (다른 사람에게) 말할 필요가 없다고 경호관에게 말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천 전 수석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소속 이 경호관이 전직 대통령의 추락을 막지 못한 데에 대한 책임 추궁을 우려했고, 경찰은 이를 감춰주려 했다는 의구심이 들 수 있는 대목이다.

●등산객 “정토원~부엉이바위 경호관 혼자였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 당일 이 경호관이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사건은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 27일 경찰의 수사발표에서 노 전 대통령이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기까지의 정확한 경위가 밝혀질지 주목된다. 경찰은 이 경호관의 진술이 명확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부실한 수사로 일관했다는 비판은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토원 방문 여부 등 천호선 전 홍보수석이 경호관의 말을 빌려 설명한 내용과 경찰이 당초 파악했던 것에 차이가 나는데다 당일 정토원과 부엉이바위 사이 등산로에서 이 경호관을 만났다고 증언한 등산객도 3차 조사에서야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경찰은 지난 1·2차 수사결과 발표에서 이 경호관의 진술에만 의지하는 등 중대사안에 대한 안일한 대처로 일관했다는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김해 강원식 유대근기자 kws@seoul.co.kr
2009-05-27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