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한국과 일본의 자전거/박홍기 도쿄특파원

[특파원 칼럼] 한국과 일본의 자전거/박홍기 도쿄특파원

입력 2009-04-25 00:00
업데이트 2009-04-25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홍기 사회부장
박홍기 사회부장
아내는 자전거를 탄다. 한국에서는 탈 줄을 몰랐다. 타려고도 안 했다. 그러나 일본에서 생활한 지 한 달쯤 지나자 스스로 자전거를 배웠다. 이유는 간단하다. 생활의 편의를 위해서다. 쌀이나 찬거리를 사려면 집에서 15분 정도 떨어진 슈퍼마켓에 걸어가야 한다. 5㎏짜리 쌀이라도 산 날엔 여간 힘들지 않았다. 직접 들고 와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처럼 슈퍼마켓의 무료배달이 없어서다.

버스나 택시를 타기도 마땅치 않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엔 거리가 애매한 데다 요금도 비싼 편이다. 버스 기본요금은 210엔, 우리 돈으로 2800원 정도다. 택시 기본요금도 710엔이다. 더욱이 슈퍼마켓이나 쇼핑센터는 자전거 주륜장만 갖춰 놓은 곳이 많다. 자전거를 탈 수밖에 없는 생활환경이다.

일본엔 자전거가 참 많다. 일본자전거협회에 따르면 2007년 자전거 보급대수는 6958만대 가량이다. 인구 1.8명당 1대꼴이다. 생활의 필수품이다. 자전거 이용은 남녀노소가 따로 없다. 양복차림의 회사원들, 스커트를 입은 젊은 여성들이 자전거를 타는 모습은 흔하다. 자전거의 앞뒤 보조석에 어린이를 태운 주부들도 쉽게 볼 수 있다. 일본을 처음 찾는 한국인들의 눈엔 꽤나 인상깊은 풍경이다. 한국에서 대중교통이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을 보는 것 같아서다.

자전거와 관련된 시스템도 비교적 잘 갖춰져 있다. 전철역 근처에는 2층 규모의 주륜장이 있다. 집과 역을 잇는 교통수단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한 조치다. 일본의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14%대다. 그렇지만 회사원들이 회사까지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직원들에게 대중교통비를 실비로 계산해 지급하거나 아예 정기권으로 사주기 때문이다. 건강이나 취미로 자전거를 타는 회사원이라면 예외다.

게다가 아파트에도 주차장과 별도로 주륜장이 있다. 주륜장은 무료지만 아파트의 주차장은 매달 3만∼5만엔 정도 이용료를 내야 한다. 단독주택의 경우 주차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차를 살 수 없는 차고지 증명제가 시행되고 있다. 자전거에 비해 승용차가 홀대받는 것은 아닌가 싶다.

자전거의 규칙은 까다롭다. 기본적으로 자전거는 차량으로 취급되는 탓에 차도 주행이 원칙이다. 두명이 타면 안 된다. 야간에는 반드시 전조등을 켜야 한다. 어린이는 헬멧을 써야 한다. 그렇지만 차도에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좁은 인도를 이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보행자들은 위험천만하다. 불편하기 짝이 없다. 실제 사고도 잦다. 지난해의 자전거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21.2%를 차지했다. 사망자는 717명으로 전체의 13.9%, 부상자는 16만 2250명으로 7.2%를 기록했다. 자전거 전용도로가 제대로 정비되지 못한 게 가장 큰 요인이다.

요즘 ‘저탄소·녹색성장’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부는 ‘자전거 바람’이 거세다. 이명박 대통령의 ‘자전거 예찬론’에 ‘자전거의 나라’로 불리는 일본에서조차 귀를 쫑긋 세울 정도다. 도쿄신문은 최근 ‘한국의 자전거도로 계획’을 소개했다. 특히 서울시가 추진하는 사물함과 샤워시설을 갖춘 주륜장에 관심을 보였다. 일본에서는 상상하지도 못한 발상인 까닭에서다. 그러면서 ‘자동차 우선 사회’인 한국에서 ‘자전거 문화’가 정착될지에 의문부호를 찍었다.

틀린 지적이 아니다. 한국처럼 대중교통망이 잘 정비된 데다 교통비가 싼 나라에서 자전거는 레저용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자칫 ‘일상생활의 발’이 아닌 건강·환경을 위한 자전거 문화는 유행처럼 지나갈 가능성이 크다. 저탄소 사회와 무관하게 말이다.

때문에 자전거가 주요 교통수단이 되게 하려면 생활 패턴, 사회구조 및 구성원의 인식 등까지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박홍기 도쿄특파원 hkpark@seoul.co.kr
2009-04-25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