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석과불식 자세로 희망의 새싹 키워내자”

“석과불식 자세로 희망의 새싹 키워내자”

입력 2009-01-10 00:00
업데이트 2009-01-10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 희망제작소 신년특강

그가 던진 2009년의 화두는 ‘석과불식(碩果不食)’이었다.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는 9일 희망제작소에서 ‘성찰과 희망’을 주제로 신년특별강연을 했다. 참가예정인원인 100명을 훌쩍 넘는 사람들이 신 교수의 강연을 들으러 왔다.

이미지 확대


●금융위기 근본원인은 ‘인간적 가치의 부재´

가지 끝에 마지막 남은 과실을 석과, 씨과실이라고 한다. 석과는 먹지 않고 땅에 묻어 이듬해 봄의 새싹이 된다. 이렇게 씨과실을 먹지 않고 새싹으로 키워내는 ‘석과불식’이란 단어가 신 교수가 전파하는 희망의 언어다. “삭풍 속에 남아 있는 가지 끝의 마지막 과실은 고난의 상징입니다. 우리의 몫은 이러한 고난의 상황에서 희망을 일구어 내는 것입니다.”

신 교수가 말하는 ‘석과’는 바로 인간이다. 그가 생각하는 우리 사회의 문제는 사람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융위기가 어디서부터 왔는지 생각해봅시다.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론 사태는 신용담보를 확인해 빌려준 채권으로 파생상품을 만들어 모르는 사람들에게 판매한 데서 비롯됐습니다. 인간적 거래라고는 하나도 없었지요. 정반대 사례가 무하마드 유누스 박사의 그라민 은행입니다. 담보나 신용평가점수는 필요없는 곳이지요. 인간적인 교감만으로 거래를 했는데도 파산한 사람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결국 신 교수가 지적하는 금융위기의 근본 원인은 ‘인간적 가치의 부재’다.

사람 사이의 만남과 관계가 황폐화되다 보니 사회성이 붕괴된다. 사회성이 붕괴되면 올바른 사회적 목표를 공유하기 어렵다. “자본주의 사회가 도시를 만들어 효율성을 따졌고, 도시 속에서 사람들은 얼굴 없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되어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모든 상품이 화폐가치로 환원되면서 인간 본연의 가치가 없어졌습니다. 인간 정체성마저도 희미해져버린 상황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처럼 서로 연대해야

이를 타개하기 위해 신 교수가 내놓은 대안은 ‘하방연대(下方連帶)’.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처럼 사람도 낮은 곳으로 찾아들어 서로 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항상 낮은 곳에 자신을 둡니다. 다투지 않기 때문에 허물도 없습니다. 우리 사회도 대기업은 중소기업과, 정규직은 비정규직과, 남성은 여성과 연대해야 합니다.”

이번 강연을 시작으로 희망제작소는 2009년 한국사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특별 강연을 매주 주최한다. 16일에는 도법 스님이 전하는 ‘길에서 만난 생명과 평화’, 22일은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장의 ‘한국 경제 전망과 희망의 조건들’, 29일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의 ‘한국 정치, 소통과 통합의 길’에 대한 강연이 예정돼 있다.

글 사진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09-01-10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