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테크놀로지 뉴스의 실종/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테크놀로지 뉴스의 실종/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입력 2008-11-18 00:00
업데이트 2008-11-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서울신문은 종합지다. 사람들의 삶을 둘러싼 모든 현상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대부분의 사회현상들을 다루고 있지만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는 장르가 있다. 테크놀로지 관련 뉴스다.

근대사회의 기반을 구축한 산업혁명은 말할 것도 없지만 테크놀로지는 사회변혁의 원동력이다. 장인의 손끝 재주에서부터 에너지동력을 이용하는 기계를 넘어 인간의 가시적 한계를 넘어선 나노기술에 이르기까지 테크놀로지는 인간의 삶을 꾸려나가고 통제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

최근 몇십년간 세상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 테크놀로지라는 점에 반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중요하디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신문들도 마찬가지지만 지난 한주 동안은 물론, 그 이전의 서울신문 지면 어디에서도 테크놀로지 뉴스는 보이지 않았다. 세상의 변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기보다는, 앞으로 이를 기사로 전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테크놀로지 이슈들을 기사화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관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테크놀로지는 인간의 삶에 두 가지 속성으로 다가선다는 점을 감안할 것을 주문한다. 장밋빛 꿈과 어두운 고통의 그림자 둘 다 드리운다. 전자는 테크놀로지의 속성, 테크놀로지의 가능성 등 테크놀로지 자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테크놀로지가 가져다 줄 긍정적 변화의 가능성을 포착해내야 한다. 주로 기업들의 비즈니스 계획이나 전망의 근거가 되고 정부가 새로운 성장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의 전제가 된다.

기업들의 성장전략과 정부의 경제성장 정책의 배후에 어떤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작동하려고 하는지를 살펴보는 눈이 필요하다.

테크놀로지는 자본주의와 근대적 관료주의 시스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테크놀로지 이슈가 과학기자의 몫만이 아니라 경제부와 정치부 기자들의 취재이슈이기도 한 것이다.

후자는 테크놀로지의 혜택에서 벗어나 있거나 테크놀로지의 진행을 따라갈 수 없는 테크놀로지 소외영역에서 일어난다.

황의 법칙처럼 기하급수적 발전속도로 진행하는 작금의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발전속도만큼 소외지대를 확산시킬 수 있다. 테크놀로지에 기반을 둔 도시화의 진행은 그만큼 농어촌지역의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

저소득층의 테크놀로지 소외는 청소년문제에서도 나타난다. 중소기업의 곤란은 테크놀로지의 전개를 제대로 따라잡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사회부, 문화부 역시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를 다루기 위한 또 다른 관점은 테크놀로지의 확산을 가속화시키는 세력과 이를 조절하고 통제하고자 하는 세력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다. 전자는 변화를 바라는 새로운 사회세력들이다.

블로그의 확산을 단순히 새로운 정보창출 기제의 차원으로 보는 데서 그치지 말고 이를 지지하고 확산시키려는 아마추어 저널리스트라는 새로운 사회세력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살필 수 있어야 한다.

반면 인터넷 살인과 같은 기존 사회윤리의 상괘를 벗어나는 행위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도와 인터넷이 전통적인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들을 고민해야 한다. 양자사이의 갈등은 물론 타협의 과정들을 상세하게 드러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보면 테크놀로지이슈들은 특정 부서만의 취재대상이 아니다. 모든 기자들에게 테크놀로지 마인드는 중요한 것이다.

김사승 숭실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2008-11-18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