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의 풍경]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안팎

[서울의 풍경]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안팎

이세영 기자
입력 2008-06-21 00:00
업데이트 2008-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에도 군졸들의 얼굴은 땀으로 번들거렸다.3겹의 쾌자(겉옷) 속에 받쳐입은 바지저고리는 이미 물기를 먹어 눅눅해진 지 오래. 수은주는 어느새 29도를 가리키고 있다. 취타대를 앞세운 교대군이 덕수궁 대한문 밖으로 행진해왔다. 양측 부대의 참하(부지휘관)가 암호를 통해 신분을 확인하자 여섯 번의 북소리가 울리고 승정원 주서가 지켜보는 가운데 열쇠함이 건네진다. 이어 양측 수문장이 순장패를 교환하고 마주선 양측의 군사들이 군례를 행하는 것으로 15분에 걸친 교대의식이 마무리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광장에서 덕수궁 수문군들이 순찰행렬을 벌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광장에서 덕수궁 수문군들이 순찰행렬을 벌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수문장 정이권(27)씨는 10분 넘게 이어지는 관광객의 카메라 세례에도 꼿꼿한 지휘관의 위엄을 흐트러뜨리지 않았다. 왕릉의 무인석(武人石)이 따로 없었다.

“명색이 장수인데 자세의 ‘각’이 일반 군졸들과는 달라야죠.”

정씨는 지난해 대학을 졸업한 뒤 6개월 전 친구의 소개로 덕수궁 수문군이 됐다. 말단 군졸로 시작했지만 “빼어난 풍모와 타고난 연기력을 인정받아” 2개월만에 장수로 ‘특진’했다. 대한민국에 자신만큼 외국인의 카메라 세례를 많이 받은 사람도 없을 것이라는 게 그의 자랑이다.

덕수궁 앞에서 조선시대 수문장 교대식을 재연하는 장수와 군졸들은 공익근무요원일 것이라는 풍문과 달리 20∼30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은 서울시와 계약을 맺은 이벤트 회사에 소속돼 매일 덕수궁 옆 서울시청 별관으로 출근한다.2006년까지는 공익근무요원들로 행사를 진행했지만 지난해부터 이벤트 회사 직원들로 전원 교체됐다.

이미지 확대
수문장 교대식 전에 수문장 정이권씨가 분장을 하고 있다
수문장 교대식 전에 수문장 정이권씨가 분장을 하고 있다
대부분 20·30대 비정규직… 軍의장대 출신도

운영팀장 김성헌(44)씨는 “공익근무요원들로 진행할 때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다.”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복장 안에 귀고리나 목걸이 등 액세서리를 착용한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 입방아에 오르는가 하면, 집안 일을 핑계로 예사로 결근하는 등 골치아픈 일이 한 두가지가 아니었던 것.

행사요원이 일반인들로 대체되고 근태관리가 철저해지면서 운영체계는 틀이 잡혔지만 정작 요원들은 보수와 신분불안에 대한 걱정이 적지 않다. 한 30대 요원은 “월급제로 전환됐지만 급여가 110만원 남짓밖에 안 돼 생활하기 빠듯하다.”면서 “언제든 ‘잘릴’ 수 있어 조만간 다른 일을 알아볼 생각”이라고 털어놓았다.

반면 20대 초반의 한 요원은 “어차피 안정된 직장을 갖기란 어려운 것 아니냐.”고 반문한 뒤 “폼 나고 재미도 있고, 이만한 아르바이트가 없다.”고 만족스러워했다.

이미지 확대
행렬에 필요한 도구들을 챙기고 있는 모습
행렬에 필요한 도구들을 챙기고 있는 모습
요원들은 오전 9시30분에 출근해 오후 5시30분 퇴근한다.11시 첫 교대의식 전까지는 간단한 조회 뒤 개인연습을 한다.‘신입’들은 이 시간 ‘사수’로부터 집중조련을 받는다.

비 오는 날엔 행사가 없다. 대신 복장·장비를 손질하거나 교육을 받는다. 교육에는 으레 팀장의 질책과 잔소리가 따르기 마련이라 요원들은 “비오는 날이 싫다.”고 입을 모은다.

요원은 모두 46명. 교대의식이 주임무인 만큼 2개조로 운영된다. 군 의장대 출신이 3명이다. 요원이 되기 위한 자격조건은 없다. 다만 키가 180㎝가 넘고 용모가 준수하면 수문장 후보 1순위다. 수문장이 되면 수염을 붙이고 복장도 화려해진다. 임무가 군졸보다 많아 급여도 20만원쯤 높다.

이미지 확대
‘사실적 고증’vs‘현재적 재구성’

수문장 교대의식은 경복궁과 덕수궁 2곳에서 진행된다. 경복궁 행사는 문화재청의 위탁을 받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주관한다.10년 새 서울을 찾는 외국인의 필수 관광코스로 자리잡았지만 모델이 된 유럽의 근위병교대식이 그렇듯 과거의 것을 충실히 재현했다기보다 지금의 필요에 맞게 각색된 것이라고 보는 게 정확하다.

실제 덕수궁이 왕궁으로 기능한 것은 고종황제가 아관파천(俄館播遷)에서 돌아온 1897년 이후다. 따라서 수문장 교대식이 행해졌다면 신식군대인 ‘별기군’이 나섰을 가능성이 높지만, 지금의 교대식은 영·정조대의 복식에 의례는 경국대전에 기록된 조선 초기의 것을 원용해 사실적 고증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아무려면 어떤가. 영국인들이 ‘천년의 전통’이라고 자랑하는 영국 왕실의 의례들도 사실은 1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전통’이라는 것이 서양사학계의 공인된 진실이 아니던가.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06-21 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