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맥킨지 부파트너 김상범 컨설턴트 영어공부 비결

맥킨지 부파트너 김상범 컨설턴트 영어공부 비결

이경원 기자
입력 2008-06-17 00:00
업데이트 2008-06-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어만 쓰는 환경에 스스로 노출 두려움의 ‘임계치’ 넘으니 길 열려”

“결과는 나중 일입니다. 되든 안 되든 일단 부딪쳐 보는 거죠. 도전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는 게 없습니다.”

세계적인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의 부파트너(2∼3개의 팀을 관리하는 지위)에 오른 김상범(38)컨설턴트. 그는 ‘영어실력의 비법’으로 끊임없는 도전을 첫 번째로 꼽았다.

김컨설턴트는 ‘해외파’가 수두룩한 컨설턴트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국내 토종’이다. 장기 해외거주 경험도 없었다.

하지만 시간을 쪼개고 적극적으로 도전해 지금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업무의 기본인 영어실력도 원어민 못지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외국 경험이 없는 만큼 대학 다닐 때나 직장에 들어와서나 줄곧 주어진 환경을 최대한 활용해 영어실력을 키워 나갔기 때문이다.

국제회의 사회자 무작정 지원

이미지 확대
끊임없는 도전으로 영어를 체화한 김상범씨가 영어실력의 비법을 설명하고 있다.
끊임없는 도전으로 영어를 체화한 김상범씨가 영어실력의 비법을 설명하고 있다.
1997년 맥킨지에 입사한 김씨는 대학 시절 대학생들의 ‘통과의례’라고 불리는 장기 어학연수를 다녀오지 않았다. 굳이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이다. 그저 장애 봉사 동아리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해외 단체와 접촉하며 일하게 된 것이 큰 도움이 됐다.

“대구에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고, 대학(한양대 경제학과)에 들어가면서 처음으로 서울에 왔어요. 문화적 차이에 크게 놀랐죠. 영어도 서울 학생들에 비해 형편없었습니다. 대학에 합격할 수준 만큼 문법이나 열심히 했을 뿐이었죠.”

하지만 김씨는 이런 약점을 ‘자신감’으로 헤쳐나갔다. 대학 시절 몸담고 있던 장애 봉사 동아리에서 해외 단체와 함께 국제회의를 연다는 말을 듣고 무작정 사회자로 지원을 하기도 했다. 김씨는 ‘비록 실력은 터무니없었지만 창피함은 전혀 느끼지 못했다.’고 돌아봤다.

이처럼 영어를 쓸 수밖에 없는 환경에 스스로를 노출시키고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다. 두려움이 없어지면 길이 열린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제가 항상 강조하는 것이 두려움의 ‘임계치’를 넘어야 한다는 겁니다. 사실 지금도 영어가 어려워요. 하지만 어렵다고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면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어요. 어떻게든 환경에 자신을 내던져야 합니다.”

꿈은 아직 ‘현재진행형’

하지만 다른 사람들처럼 김씨에게도 사회생활의 ‘첫 단추’는 힘겨웠다. 회사 동료들은 외교관이나 주재원들의 자녀 혹은 해외에서 공부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실제 당시 맥킨지에는 70%가 넘는 직원이 학부를 외국에서 마친 사람들이다. 이들과 동등하게 경쟁하기란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

“회사의 특성상 거의 매일 외국인과 회의를 합니다. 이럴 때마다 답답할 때가 너무 많았어요. 하고 싶은 말은 많은데 머릿속에서 정리는 안 되고…. 무척 힘이 들었죠.”

김씨는 이런 어려움을 스스로의 노력으로 조금씩 극복해 나갔다. 회의가 있으면 2∼3시간씩 준비를 하고 미리 연습했다. 외국인과 미팅이 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예상질문을 뽑고 그 답을 머릿속에 정리하는 훈련을 계속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자 웬만큼 자신감이 붙었다.

긍정적인 사고도 한몫했다.“흔히 회의에서 ‘박살’이 난다고 하죠. 시간이 흘러가면서 이런 일이 생겨도 긍정적으로 생각할 만큼 여유가 생기더군요. 한편으로는 ‘내 실력이 조금 더 나아졌겠지.’라고 애써 좋게 생각했어요. 한 번에 실력이 느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김씨는 지금도 ‘언어 공부의 끝’은 없다고 믿는다. 그래서 부족한 부분은 되새기고 배우는 과정을 계속한다. 끊임없는 도전은 김씨에게 너무나 당연한 진리다.

이 때문일까. 김씨는 요즘도 수면시간이 4∼5시간을 넘지 않는다. 퇴근한 뒤에도 내일 할 일을 미리 준비할 때가 많다. 김씨의 꿈이 아직도 ‘현재진행형’이어서다.“많은 사람이 인생의 정점을 30∼40대라고 생각하고 심지어 20대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어요. 저는 그 정점을 50대로 잡았습니다. 성장을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겁니다.”

글·사진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08-06-17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