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0) 대한제국 자주의식 상징 환구단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0) 대한제국 자주의식 상징 환구단

입력 2007-12-27 00:00
업데이트 2007-12-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장의 칠조룡 조각은 황제국 상징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천의례는 고조선 이래 이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접어들면 국가적 차원의 제천의례는 쉽지 않아 집니다. 천자(天子)만이 하늘과 직접 소통할 수 있다는 중국 중심의 세계관 때문이지요. 따라서 하늘에 제사 지내는 환구단(丘壇)을 건립한다는 것은 곧 중국과 동등한 나라임을 선포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사적 제157호 환구단. 그러나 환구단은 일제강점기에 헐리고 사진에 보이는 황궁우만 남아 있다. 또 ‘환구단’인지 ‘원구단’인지 그 명칭을 두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사적 제157호 환구단. 그러나 환구단은 일제강점기에 헐리고 사진에 보이는 황궁우만 남아 있다. 또 ‘환구단’인지 ‘원구단’인지 그 명칭을 두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있는 환구단은 1897년(고종 34년) 10월11일 완공되었습니다. 이튿날 고종은 이곳에서 대한제국의 출범을 하늘에 고하고 황제에 오르게 되지요. 대한제국이 중국, 나아가 호시탐탐 한반도를 노리던 열강과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음을 안팎에 천명하는 자리였습니다. 환구단은 사적 제15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러나 하늘에 제사 지내던 환구단은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황궁우(皇穹宇)만이 남아 있지요. 황궁우는 황천상제(皇天上帝)와 태조의 격을 황제로 높인 태조고황제 등 하늘신과 조상신을 모시고 있습니다.

환구단은 중국의 베이징을 찾은 사람이라면 한번쯤 방문했을 천단(天壇)이 모델이 되었을 것입니다. 명나라 영락제가 처음 세운 뒤 오늘날에는 천단공원(天壇公園)으로 알려진 천단 역시 환구단과 황궁우가 중심이지요. 서울의 황궁우는 팔각형의 3층집 모양이지만, 내부는 바닥부터 지붕까지 하나로 뚫려 있는 통층(通層)입니다. 천장에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데, 발톱이 7개인 7조룡(七爪龍)인 것은 역시 황제국을 상징합니다. 황궁우는 14칸이니 그다지 큰 규모라고는 할 수 없겠지요. 반면 원추형의 황금빛 지붕에 바닥이 3단으로 지어졌던 원구단은 아랫단이 144척(약 43.2m)이었다니 제법 볼 만한 규모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구단의 윗단은 하늘과 땅, 가운데는 일월성신, 아랫단은 산천 및 자연신을 위계에 맞게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대한제국의 칭제건원(稱帝建元)은 일본의 이해와 맞아떨어졌던 것도 사실이었습니다.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시모노세키조약(1895)이 맺어진 뒤 고종에게 황제국가를 선포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고 하지요. 그렇게 되면 중국이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했음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조선의 자주권을 되찾으려는 노력은 일본이 요구하던 상징적인 수준을 넘어섰던 것이 분명합니다. 황제국 격상을 넘어서 환구단을 세우는 것까지 일본이 지지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승지를 지낸 이숙영의 상소문에도 자주국가에 대한 열망이 담겨 있습니다. 그는 ‘황제 즉위는 다른 나라들 때문이 아니라 국민이 원하기 때문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자주독립의 국가에 어울리는 칭호가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지요. 환구단이 아니었다면 칭제건원 역시 일본의 꼭두각시 놀음으로 폄하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오늘날 환구단이 마치 조선호텔의 정원처럼 고립되어 있는 것도 당시 일본의 불쾌감과 관련이 없지 않을 것 같습니다. 대한제국을 병합한 일제가 1913년 황궁우만 남겨놓고 환구단 건물을 철거한 자리에 조선호텔의 전신인 철도호텔을 지은 이후 앞뒤로 온통 호텔촌(村)이 되고 말았으니까요.

환구단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이르는 격변기에 불과 15년 남짓 존속했고, 실제로 제사터로 기능을 유지한 것은 그보다도 훨씬 짧았던 비운의 문화유산입니다. 하지만 민족자존을 강조하는 시대에도 민족자존의 상징인 환구단은 너무도 관심권에서 멀어져 있었던 듯 합니다.

dcsuh@seoul.co.kr
2007-12-27 2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