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친디아’ 세계공장서 세계두뇌로

‘친디아’ 세계공장서 세계두뇌로

박정경 기자
입력 2006-02-18 00:00
업데이트 2006-02-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등 서방 선진국의 연구개발(R&D) 일자리가 중국과 인도(친디아)로 몰리고 있다. 선진국들은 값싼 단순 노동력을 찾아서가 아니라 질 좋은 고급 두뇌를 얻으려고 중국과 인도에 앞다퉈 R&D센터를 세울 계획이다.

미국 과학기술 자문그룹인 ‘내셔널 아카데미’가 미국과 유럽의 200여개의 다국적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중 38%는 앞으로 3년을 전후해 중국과 인도에 연구개발 분야를 아웃소싱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밝혔다고 뉴욕타임스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조사에 응한 미국 기업들 중 절반 이상이 인도나 중국에 R&D 시설을 건립하거나 기존 시설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다국적기업 R&D 친디아로 간다

이미지 확대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R&D 진출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다우케미컬은 내년까지 중국 상하이에 연구센터를 지어 600명의 기술 인력을 고용하기로 했다. 인도에도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윌리엄 반홀저 최고기술경영자(CTO)가 말했다.

다우케미컬은 미국과 캐나다에 4000명, 유럽에 1700명의 연구개발자가 있다. 이중 상당수는 중국과 인도에서의 R&D 아웃소싱으로 쫓겨날 전망이다.

1990년대 친디아에 첫발을 내디딘 IBM은 인도의 기술 허브인 벵갈루루에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연구소를 설립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휼렛패커드는 지난 2002년 인도에 이어 중국에 새로운 연구소를 세울 예정이다. 지난달 벵갈루루에 기술혁신센터를 연 마이크로소프트는 4년간 17억달러(약 1조 7000억원)를 인도에 투자해 7000명의 현지 R&D 인력을 채용할 방침이다. 중국은 올해 다국적기업의 R&D 직접투자액이 55억달러(약 5조 5000억원)일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중국에는 연구센터 50여곳이 들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까지의 실적을 합하면 800여곳이나 된다.

인재 많고, 상품현지화 위해

중국과 인도의 고급 인력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것은 이들 나라의 성장잠재력이 무궁무진하고 교육 시스템이 탄탄하기 때문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단순히 친디아의 임금 경쟁력(낮은 임금)만을 보고 투자하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세금혜택도 투자를 선택하는 큰 변수는 아니다.

다국적 기업이 진정 바라는 것은 연구 노동자의 ‘재능’이다. 현지 국가의 일류 대학과 연계, 유능한 교수와 졸업생을 확보하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 팽창하는 친디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선 상품 자체가 지역 사정에 맞게 개량돼야 한다는 점도 R&D 현지화의 큰 이유다.

그렇다면 연구개발 아웃소싱이 다국적 기업의 주 소재지인 미국과 유럽의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떨까. 심각한 스태그플레이션(불경기속의 물가상승)을 가져올 정도는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전체 노동시장에서 연구인력이 차지하는 규모가 비교적 작아 결국 실보다 득이 크리라는 기대다.

하지만 미·유럽 고등학생들이 점점 수학과 과학에 흥미를 잃고 이공계에 진학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장기적으로 경제에 해악이 될 것이란 우려도 만만찮다.

박정경기자 olive@seoul.co.kr
2006-02-18 1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