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0대 여류’ 틀 깬 실험소설

‘30대 여류’ 틀 깬 실험소설

이순녀 기자
입력 2005-12-16 00:00
업데이트 2005-1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재영(39)과 김록(37). 이번주 나란히 첫번째 소설책을 낸 신인 여성작가다. 두 사람에게 남다른 관심이 쏠리는 건 소재 선택이나 주제의식, 소설작법 등이 흔히 ‘30대 여성작가’라는 타이틀에서 연상되는 일정한 틀을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비교적 늦은 나이의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의 세계관과 스타일을 당당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김재영의 첫 소설집 ‘코끼리’(실천문학사)는 외국인 노동자, 도시 빈민 등 소외 계층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연민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2000년 ‘내일을 여는 작가’신인상으로 데뷔한 이후 5년간 발표한 단편 10편을 묶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표제작 ‘코끼리’는 작가의 문학적 관심사가 어디를 향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나’는 네팔인 아버지와 조선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열세살 소년이다. 아버지는 ‘땀과 화약약품과 욕설’에 찌들어 십수년을 보냈지만 돼지 축사 같은 쪽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한때 병든 아버지의 이마를 따뜻한 손길로 짚어주던 어머니는 지긋지긋한 가난을 피해 도망을 쳤다. 혼인신고를 못한 부모 덕에 ‘나’는 ‘살아 있지만 태어난 적이 없다고 되어 있는 아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코리안 드림은 ‘외’(소용돌이를 뜻하는 미얀마어)다. 허우적거릴수록 빠져드는 ‘외’처럼 천박한 자본주의는 그들의 손가락뿐만 아니라 희망의 싹마저 싹뚝 잘라버린다. 발로 뛴 흔적이 곳곳에 묻어나는 이 작품은 국내 문학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문제소설’과 작가들이 뽑은 ‘올해의 좋은 소설’에 선정됐다. 소설집에는 이밖에 러시아 무용수 쏘냐를 주인공으로 한 ‘아홉개의 푸른 쏘냐’와 중산층 소시민의 속물성을 드러낸 ‘자정의 불빛’ 등이 실렸다.9000원.

시집 ‘광기의 다이아몬드’를 낸 시인 김록의 첫 장편소설 ‘악담’(열림원)은 일반적인 소설의 서사 구조와 문체의 틀에서 자유롭다. 때로 자유로움을 넘어 극단으로 치닫는다. 문학평론가 성민엽이 ‘과잉의 미학’이라고 지적하는 이러한 특징은 아무 사전 지식 없이 책장을 넘기는 독자들을 일순 당혹시킨다.

먼저 ‘악담’에는 기승전결을 갖춘 뚜렷한 스토리가 없다.9개의 장과 프롤로그, 에필로그로 이루어진 소설은 종잡을 수 없는 회상과 연상, 꿈으로 이어지는 무의식의 세계를 자유롭게 유영한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소설 속 화자인 ‘나’는 시를 쓰는 독신여성이다. 어느 봄날 ‘나’는 혼자 영화를 보고 난 뒤 카페에서 ‘그’를 만난다.2월 초순 ‘뮤즈 클럽’의 시낭송회에 참석해 달라는 전화를 받았고, 그 다음날 친구 ‘목이’와 여행을 다녀온다. 얼마 후 예술의거리 ‘땅땅’에서 열리는 시낭송회에 참가했다가 호텔 엘리베이터에서 ‘그’를 만난다. 이들 각각의 에피소드 사이에 특별한 연관성이나 인과관계를 짐작하기는 어렵다.

탈문법적인 문장이나 표현도 잦다. 의도적으로 구사되는 비문이나 부적절한 호응 관계 등은 독자를 불편하게 만들지만 어느 정도 익숙한 단계에 이르면 작가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받아들이게 된다.“김록의 소설이 보여주는 과잉의 미학은 한국어로 쓰인 소설의 역사에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성민엽).9500원.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05-12-16 2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