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계 첫 개 복제 성공] 유전자 인간과 유사… 질병치료 큰 도움

[세계 첫 개 복제 성공] 유전자 인간과 유사… 질병치료 큰 도움

장세훈 기자
입력 2005-08-04 00:00
업데이트 2005-08-04 07: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를 복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동물 복제와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됐다. 특히 동물 복제 기술을 치료용 배아줄기세포의 상용화를 위한 동물실험에 활용할 경우 연구진행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물 복제·줄기세포 독보적 위치 확보

복제 개 스너피(Snuppy)의 탄생 과정은 지금까지 복제된 다른 동물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대부분의 동물은 난자가 성숙된 단계에서 배란돼 정자를 만나 수정되는 것과 달리 개의 경우 난자가 미성숙 단계에서 배란이 이뤄지고 미성숙 난자를 체외에서 배양할 수도 없어 복제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연구팀은 자궁이 아닌 나팔관에서 성숙한 난자를 찾아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타이’라는 이름의 ‘아프간 하운드’ 귀에서 체세포인 표피세포를 떼어낸 다음, 핵이 제거된 난자에 통째로 이식했다. 이를 통해 모두 1095개의 ‘재조합 수정란’(배아)이 만들어졌으며 123마리의 대리모에 마리당 5∼12개의 배아를 넣어 임신을 유도했다.

이 결과,3마리의 대리모가 임신했으나 한 마리는 유산됐다. 최종적으로 태어난 복제개 2마리중 1마리는 폐렴으로 죽었고 4년생 ‘리트리버’의 자궁에 착상된 1마리만 살아남았다. 서울대 동물병원에서 제왕절개수술을 통해 태어난 스너피는 출생 100일을 맞은 3일 현재 건강상태가 양호하다.

이처럼 스너피는 다른 포유동물과 난자 채취과정이 다를 뿐, 이후에는 ‘체세포 핵이식’ 방법이 그대로 적용됐다. 스너피의 탄생은 우리나라를 ‘복제동물 종(種) 보유국’의 지위에 올려놓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지금까지 국내 연구팀들도 젖소와 한우, 염소, 토끼, 돼지 등을 복제했지만 세계 최초의 연구 성과는 아니었다. 또 개는 1년에 두 차례 정도 발정이 오는 등 특이한 번식생리학적 특성 때문에 가장 복제하기 힘든 동물로 꼽혀왔다는 점에서 국내 복제기술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랐음을 증명한다.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의 이언 윌머트 박사는 “이번 성과는 동물 복제 연구에서 최고의 정점을 찍는 큰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세계 최초로 생쥐를 복제한 일본의 와카야마 박사도 “이번 복제는 바이오 의학적 가치와 멸종위기에 놓인 동물의 복원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를 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우선 동물의 복제 및 복원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늑대나 토종여우 등 멸종된 동물이나 멸종될 위기에 처한 동물을 이번 복제기술을 통해 되살릴 수 있다. 마약탐지견이나 군견, 맹인견 등 혈통이 우수한 특수견을 보존하거나 대량생산할 수도 있다.

특히 난치병 환자의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나 신약을 개발하는 데도 디딤돌 역할을 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

낮은 복제성공률 극복이 최우선 과제

또 개는 인간과 유전자 구조가 매우 유사하고, 개와 사람이 동시에 걸리는 질병도 많기 때문에 인간의 질병을 연구하는 모델동물로 활용할 가치가 크다. 질병모델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유전자의 수는 개가 203개로 돼지(65개)나 고양이(123개)에 비해 훨씬 많다.

황 교수는 “인간과 생리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동물은 원숭이지만, 원숭이 복제가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최선의 대안은 개”라면서 “인간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의학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연구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낮은 복제 성공률은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연구팀은 1095개의 배아를 123마리의 대리모에 넣어 임신을 시도했지만 2마리를 생산하는 데 그쳤다. 대리모 대비 복제 성공률은 1.6%지만 전체 배아 수에 비교하면 성공률은 0.09%로 떨어진다. 이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날 당시 277개의 배아가 사용돼 1마리가 태어난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5-08-04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