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심장·뇌혈관 약 복용하세요? 40대 이상 남성인가요?

심장·뇌혈관 약 복용하세요? 40대 이상 남성인가요?

입력 2012-10-15 00:00
업데이트 2012-10-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신은 상부위장관 출혈 고위험!

우리나라 장년층 이후 남성들이 상부위장관 출혈 위험성에 노출돼 있다. 상부위장관 출혈이란 위와 식도, 십이지장에 발생하는 출혈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인구 1000명당 1명꼴로 나타나는 비교적 흔한 소화기 질환으로, 전체 위장관 출혈 질환의 80%를 차지한다. 특히 소장과 대장에서 생기는 하부위장관 출혈에 비해 출혈량이 4∼5배나 많아 응급 상황을 초래하기 쉽다.

이미지 확대
상부위장관 출혈은 정기적인 내시경검사를 통해 원인 질환을 파악해 치료하는 게 최선의 예방법이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상부위장관 출혈은 정기적인 내시경검사를 통해 원인 질환을 파악해 치료하는 게 최선의 예방법이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강남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 윤영훈 교수는 2008년 1월부터 2012년 8월 사이에 이 병원에서 상부위장관 출혈로 진단받은 10세 이상 환자 1만 3904명을 분석한 결과 남성(1만632명)이 여성(3272명)보다 3.25배 이상 많았다고 최근 밝혔다. 특히 40대 이상 장년층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4배 가까이 진단율이 높았으며 최근 2년 동안은 60∼70대 남성 환자 수가 여성의 7배에 이르렀다. 또 같은 기간 급성 상부위장관 출혈로 이 병원 응급실을 찾은 1279명 중 남성이 69%(878명)였으며 이 가운데 40∼70대가 76%나 됐다. 이들 상당수가 심장 질환과 뇌경색 치료를 위해 평소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40대이상 男 환자, 女보다 4배 많아

여성도 안심할 수 없다. 50대 이상 여성 역시 상부위장관 출혈이 이전 연령대에 비해 많았다. 윤 교수는 “평소 속쓰림이나 명치 부위의 통증 등 궤양 증상이 있으면 내시경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면서 “최근 내시경 치료술이 발전하면서 상부위장관 출혈에 의한 사망률이 2% 정도로 낮아지기는 했지만 간경변이나 만성신부전 등 만성 질환을 가진 경우에는 사망률이 7∼10%로 여전히 높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남녀 간의 발병 빈도 차이는 남성이 사회적 스트레스와 과음, 흡연 등의 위해 요인에 더 많이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상부위장관 출혈 원인의 50%를 차지하는 위·십이지장궤양 등 소화성 궤양과 간경변증에 의한 식도 및 위정맥류 출혈(14%), 반복적인 구토·구역질로 식도와 위 경계부가 찢어지는 ‘말로리와이즈 열상’(3∼14%) 등이 모두 남성에게 흔한 소화기 질환이다. 윤 교수는 “이 밖에 심장질환과 뇌경색 등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 복용하는 항혈소판제나 항혈액응고제 등도 상부위장관 출혈 가능성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흔히 사용하는 두통약이나 소염진통제도 출혈 위험성을 높인다.

●두통약·진통제도 출혈 위험성 높여

상부위장관 출혈을 예방하려면 40대 이후 정기적인 내시경검사가 필요하다. 아울러 연령에 상관없이 구토할 때 피가 나오거나 변의 색깔이 검은 흑색변, 변에 붉은 피가 섞인 선혈변 등의 증상이 보이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특별한 원인질환이 없는데도 빈혈, 어지럼증이 있거나 지속적인 속쓰림, 명치 통증이 있는 사람도 소화성 궤양이나 상부위장관 출혈을 의심해봐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소화기 질환과 심뇌혈관 질환을 함께 가진 50∼70대 남성은 상부위장관 출혈 고위험군에 해당하므로 임의로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지 않아야 하며 응급 상황에 대비해 24시간 내시경 지혈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미리 파악해 둬야 한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10-15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