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 하수·빗물관 분리… ‘배수 패러다임’ 바꿔야”

“서울 하수·빗물관 분리… ‘배수 패러다임’ 바꿔야”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이 말하는 서울 배수시스템 개선책

서울 곳곳에서 빗물이 역류했다. 배수관이 빗물을 견디지 못하고 도로 바닥으로 다시 토해내는 바람에 침수 피해는 더욱 커졌다. 때문에 서울시의 폭우 재난방지에 대한 관리 패러다임을 크게 바꿔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미지 확대
28일 오전 서울 송파구 풍납동 빗물펌프장에서 한 직원이 펌프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28일 오전 서울 송파구 풍납동 빗물펌프장에서 한 직원이 펌프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이미지 확대
무엇보다 예전에 충분했다고 인식됐던 배수관의 용량을 늘려 좀 더 빠르게 교체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 요지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지역 배수시설이 감당할 수 있는 비의 양의 한계치는 시간당 74~95㎜인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27일 내린 비는 시간당 100㎜를 넘어 서울시의 배수시설은 속수무책이었다. 특히 배수관의 시설 개선 속도가 비교적 더뎠던 강남역 일대는 순식간에 물바다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배수관은 30여년 전에 건설된 탓에 노후화됐다. 이에 따라 지구온난화 등으로 게릴라성 폭우가 잦아진 상황에서 수용량을 넘어선 배수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광화문 인근의 경우 지난해 추석 때 쏟아진 폭우로 물바다가 됐던 전력이 있지만 여태껏 배수시설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겸 빗물연구소장은 “도로나 건물을 지을 때 중간중간 빗물을 잡아주는 공간을 만들면 한곳에 빗물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수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배수시설부터 우선적으로 개선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침수와 산사태는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상석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는 “일본처럼 도로를 물이 잘 스며드는 투수콘으로 개선하고 건물의 지하 주차장에 저류시설을 갖추면 기습폭우에도 끄떡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이번 침수 피해의 원인을 배수시설이 아닌 집중 폭우 탓으로 돌렸다. 또 이번에 내린 비의 양을 소화하기 위해 전 지역 배수관을 키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고태규 서울시 하천관리과장은 “연간 2000억~3000억원의 예산으로 100년에 한번 올까 말까 한 집중호우에 대비한 설비를 갖추는 것은 경제적 설계 개념에 어긋나며 사회적 합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재 서울시는 30년에 한번쯤 있을 수 있는 사태에 대비해 빗물 펌프장을 확장하고, 저지대 상습 침수 지역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다른 전문가들은 생활 하수가 흐르는 ‘오수관’과 빗물이 흐르는 ‘우수관’을 분리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따로 분리된 ‘분류식’이 많다. 생활 하수만 따로 내보내기 때문에 큰비가 와도 오수가 역류할 가능성이 희박하고, 물 정화 약품이 적게들 뿐 아니라 하천의 오염도 줄일 수 있어서다. 빗물이 역류하면서 나는 악취도 예방할 수 있다. 서울시는 그러나 “분류식으로 개선해 나가는 단계이지만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고 기간도 오래 걸려 장기적으로 추진할 뿐 당장의 개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영준·강병철·신진호기자

apple@seoul.co.kr

2011-07-29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