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도세자 해묵은 논쟁 인문학 열기 달구다

사도세자 해묵은 논쟁 인문학 열기 달구다

입력 2011-01-18 00:00
업데이트 2011-01-1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금인 아버지가 세자 아들을 죽인 사도세자의 죽음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유례가 없는 일로 사극에서도 자주 다루어졌다. 가장 최근에는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 영조가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해 쓴 글이라는 ‘금등지사’를 놓고 극의 갈등을 만들어 냈다.

이미지 확대


●‘우리 시대의 명강의’ 연재 인기

사도세자 죽음의 진실이 또다시 인터넷을 달구고 있다. 계기는 문학동네 출판사에서 인문학 부흥을 위해 지난 3일부터 인터넷 카페(cafe.naver.com/mhdn)에 연재 중인 ‘우리 시대의 명강의’다.

‘권력과 인간’이란 주제로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꼼꼼하게 해설하고 있는 정병설 서울대 국문과 교수가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의 책 ‘사도세자의 고백’을 비판해 논쟁에 불을 댕겼다.

이 소장의 ‘사도세자의 고백’은 1998년 출판된 책으로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지고 읽힌 역사서다. 고등학생 추천도서로도 선정돼 학생들의 역사관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정 교수는 1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사료를 잘못 읽거나 왜곡해서 오류로 가득 찬 대중 역사서가 쉽게 읽힌다는 이유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 소장의 책이 역사를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무덤이 아니라 사당을 가리키는 태묘를 태조의 묘로 오독하고, 혜경궁이 가장 미워한 정순왕후의 일가가 혜경궁의 친정과 협력한 것처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 소장은 “지엽말단적인 부분만 문제 삼아 막무가내로 ‘학자가 아니다.’라고 몰아붙이고 있다.”며 “주류 역사가 기록하지 않은 다른 프레임(사도세자의 죽음이 당쟁으로 말미암은 희생이라는 설)을 제시한 것인데, 그 프레임에 대한 정면 비판은 하지 않으면서 몇 가지 부분만을 문제 삼아 전체 논지를 흐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 소장, 조목조목 반박

정 교수는 다시 “이 소장이 제시했다는 프레임은 1968년 발표된 이은순 교수의 논문 ‘한중록에 나타난 사도세자의 사인’에서 처음 제기됐다.”며 “이 소장은 주류 역사가 기록한 프레임을 사용하면서도 출처를 밝히지 않은 것”이라고 재반박했다. 이 소장은 사도세자에 관한 논문은 거의 다 찾아봤지만 이 교수의 논문은 들어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역사학술지인 ‘역사비평’에 ‘사도세자의 고백’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한 글을 실을 예정이다. 이 소장도 적당한 기회에 글을 통해 정 교수의 비판을 반박하겠다고 밝혔다.

●네티즌 “치열한 두 분 즐겁다”

네티즌들은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겠습니다.”, “덕분에 우리 역사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두 분은 치열하신데 하나하나 알아가는 유익이 즐겁습니다.”란 내용의 댓글을 수백 개씩 남기며 열띤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우리 시대의 명강의’를 기획한 강명효 문학동네 기획실장은 “인문학의 온라인 첫 연재 시도에 대한 반응이 기대보다 뜨겁다.”며 “인터넷에서 인문학자와 네티즌들이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가 어떤 방식의 인문학을 요구하는지 고민하고 새로운 형식을 모색하는 자리가 생겼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1-18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