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통곡은 시로 절망은 소설로 피어나다

통곡은 시로 절망은 소설로 피어나다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팔레스타인 문학 특집호 펴낸 계간 문예지 ‘아시아’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고립 말살 정책은 현재진행형이다. 21세기 지구상에서 끊이지 않는 전투와 학살, 폭력이 난무하는 곳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이 사실상 유일하다. 그러나 처참함과 절망, 야만의 살육 속에서도 문학은 피어난다.

이미지 확대
자식을 잃고 아랫입술을 곱씹는 어미의 통곡은 시가 됐고, 스무살 피끓는 청년이 허리에 폭탄을 두르기까지 주거와 이동이 막히고, 취업을 하지 못하고, 친구가 이스라엘군의 총에 죽음을 당하는 등 이야기는 그대로 소설이 됐다.

아시아문화네트워크는 2일 펴낸 계간 문예지 ‘아시아’ 여름호를 아예 팔레스타인 문학 특집호로 꾸몄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구호물품을 실은 선박에서 민간인을 살상한 직후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아시아’는 근대 아랍시의 창시자로 꼽히는 마흐무드 다르위시(1941~20 08)와 근대 아랍소설 창시자 갓산 카나파니(1936~1972),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히는 비교문학 이론가 에드워드 사이드(1935~2003) 등에 대한 평가와 이들이 팔레스타인 문학에 미친 영향, 팔레스타인 문단의 현주소 등을 다뤘다.

자신을 ‘저항시인이기 이전에 시인이다.’라고 천명했던 다르위시의 시 ‘여권’, 카나파니의 단편소설 ‘난민촌의 총’, 사이드의 문학평론 ‘문학과 문자주의’, 팔레스타인의 민담 ‘초록새’ 등 다양한 장르의 글을 소개했다.

팔레스타인과 한국의 문학·문화 등을 소개하고 교류하는 예술가 등의 모임인 ‘팔레스타인을 잇는 다리’ 회원인 소설가 오수연이 팔레스타인 현지에서 젊은 작가들과 나눈 지상 대담은 팔레스타인 언어와 문학의 깊이, 작가들의 생생한 고민을 엿보게 해 흥미롭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6-03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